earticle

논문검색

16~17세기 『東槎集』의 편찬 양상과 그 의미

원문정보

Aspects of compilation of 『Dongsajip(東槎集)』 in 16~17th century and its meaning

16~17세기 『동사집』의 편찬 양상과 그 의미

정용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searched the aspects of exist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 and content of 『Dongsajip(東槎集)』, which was actively compiled in 16~17th century. Dongsajip, which means ‘a collection of poems by the Eastern envoys' corps’, is a data that collects the results of poetry succession between Joseon(朝鮮) Dynasty writers who had entertained the Ming(明) Dynasty envoys. It has been compiled for about a century since its first compilation in early 16th century. This emerged in the process of ‘Literature(詞章) revitalization plan’ actively promoted in Joseon to respond to the frequent dispatch of envoys from Ming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15th century. As the conditions for the compilation of 『Dongsajip』 were in the “reception to the Ming envoys(接伴)”, there are not a few parts that are similar in form and content to the 『Hwanghwajip(皇華集)』, which contains the poetry between the Ming envoys and Joseon writers. However, compared to 『Hwanghwajip』, which only contains the Ming envoy's poetry and Joseon writers' reply poetry, its format is much more free, and in terms of contents, it is more liberal. It allows to confirm the emotional levels of Joseon writers that were not found in 『Hwanghwajip』. At this point, 『Dongsajip』 is a collection of poems related to the reception to the Ming envoys, and at the same time, it is an excellent complement that shows vividly the various and specific aspects of the reception site that are difficult to capture in 『Hwanghwajip』. On the one hand, it allows to examine the value and role of ‘Literature’, which has been further heightened in relation to diplomatic relations since the 16th century, and the aspects of contemporary Joseon writers' ceaseless efforts to realize the intention of ‘Munjanghwaguk(文章華國)’. This proves that the ‘stream of literature’ has also been continued in 16~17th century, when the consciousness of ‘Dohak(道學)’ was deepening.

한국어

본고는 16~17세기 활발하게 편찬되었던 『東槎集』의 존재 양상과 그 형식‧내용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동방 사신단의 시문집’이라는 뜻을 지닌 『동사집』은 명 사신에 대한 접반을 수행한 조선 문사 간의 시문 수창 결과물을 총집한 자료로서, 16세기 초 처음 등장한 이래 약 1세기에 걸쳐 접반사 일행에 의해 지속적으로 편찬되었다. 이는 여러 정치적 상황 하에 더욱 긴요하고도 빈번하게 이루어진 對明 외교와 그에 대응하기 위해 조선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한 ‘詞章 흥기책’을 배경으로 하여 등장하였다. 『동사집』은 그 편찬의 필요조건 자체가 ‘명 사신에 대한 접반’에 있었던 만큼, 명 사신과 조선 문인 간의 수창시를 담은 『皇華集』과 형식적‧내용적으로 유사한 부분이 적지 않다. 그러나 명 사신의 原詩에 대한 조선 문인들의 차운시만을 수록하고 있는 『황화집』에 비해 그 형식이 한층 자유로우며, 내용에 있어서도 접반사로서의 자의식과 사명감, 문학적 교유, 유람과 역사의식 등의 주제를 『황화집』보다 더욱 깊이 있게 담아내고 있어, 조선 문인들의 여러 감정 층위를 한층 선명하게 드러내 준다. 바로 이러한 지점에서, 『동사집』은 접반을 배경으로 하여 산생된 특징적 문학 양식으로서 『황화집』과 좋은 짝을 이루는 동시에 그것이 지니는 근본적인 한계를 보완해 주는 의미 있는 자료가 된다. 한편으로 이는 16세기 이후 외교 관계 중요성의 증대와 관련하여 한층 고조되었던 ‘詞章’의 가치 및 역할과 그 속에서 ‘문장화국’의 지향을 실현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경주했던 당대 문사들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게 한다. 이는 곧 ‘道學’에 대한 이해의 깊이가 더해지고 있던 16~17세기 학적 흐름의 이면에 ‘문학의 맥’ 또한 면면히 이어지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뚜렷한 근거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본고의 논의 결과를 토대로 조선 중기 문인 사회에서 중시되었던 명 사신 접반 및 그 시문 수창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가 이루어짐은 물론, 16~17세기 문학의 실상과 그 당대적 위상이 더욱 온전한 모습으로 究明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 국문초록 ]
1. 문제 제기
2. 『東槎集』의 유래와 편찬 양상
3. 『東槎集』의 체재 및 내용상의 주요 특징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용건 Chung, Yong-gun.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1,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