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삼국시대 가야 봉화망과 반파국 비정

원문정보

Gaya Beacon Network and Banpa Nation Maladministration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곽장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eacons represent the existence, territory, and power of a nation. In Nihon Shokki, Banpa Nation is a minor power in Gaya that waged war against Baekje by using beacons for 3 years. The eastern region of Jeonbuk Province is not included in the network of direct and indirect beacons of the 5 beacon routes that were succeeded at the end of Goryeo and renovated early in the Joseon Dynasty. In circles of historical studies, more than 110 beacons have been reported over the eastern region of Jeonbuk Province. 8 branches of beacon routes in total have been restored, and all of them lead to the final destination, Janggye Basin, Jangsu-gun. In the beacon mountain of Imsil and the beacon summit of Jansu, Gaya vessels made directly by Banpa Nation ware excavated. These were same with excavated articles from Banpa Nation tomb remains. Including the site assumed as part of a royal palace site, more than 240 Gaya medium/large size old tombs are concentrated over the area of Sambong-ri, Janggye-myeon, Jangsu-gun. Essential conditions stated in documentary records regarding Banpa Nation beacon fire rituals are mostly met by the Gaya force stationed geographically in Jangsu-gun.

한국어

봉화(烽火)는 국가의 존재와 국가의 영역과 국가의 국력을 대변해 준다. 『일본서기』에 반파국은 봉후(화)를 이용하여 백제와 3년 전쟁을 치른 가야 소국으로 등장 한다. 전북 동부지역은 고려 말의 봉수선로가 계승하여 조선 초기에 정비된 5봉수 로의 직봉과 간봉이 통과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전북 동부지역 에서 110여 개소의 봉화가 역사학계에 보고됐다. 모두 여덟 갈래 봉화로가 복원됐 는데, 모든 봉화로의 최종 종착지가 장수군 장계분지이다. 임실 봉화산과 장수 봉 화봉 학술발굴에서 반파국 분묘유적 출토품과 동일한 반파국에서 직접 만든 가야 토기도 출토됐다. 장수군 장계면 삼봉리에 추정 왕궁 터와 장수군 일원에 240여 기 의 가야 중대형 고총이 밀집 분포되어 있다. 반파국 봉후(화)제와 관련하여 문헌에 서 요구하는 필수 조건을 장수군에 지역적인 기반을 둔 가야세력이 대부분 충족시 켰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봉화대 분포망 및 봉화로 복원
3. 고고학 자료로 본 반파국 위치
4. 철산지 현황 및 반파국 역동성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곽장근 Kwak Chang-keun. 군산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