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북출신 독립운동가 고평의 생애와 독립운동

원문정보

Life and Independence Movement Efforts of Ko Pyeong, Independence Activist from Jeollabuk-do Province

장세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 Pyeong was born in 1884, to a traditionally reputable family of Jangheung Ko clan at Buan-gun, Jeollabuk-do Province. At the age of eight, he was adopted to the Head House of Ko clan in Changpyeong-myeon, Damyang-gun, Jeollanam-do Province, where he spent eight years studying Chinese literature. Afterwards, he went to Seoul and graduated from Bokwang (middle) school and governmental training school for judicial officers. Then, he resigned after working for a month as a prosecutor at Chuncheon district court and returned to his hometown of Buan. On July 1911, he entered Daejonggyo, which was expanding its influence as an emerging religion of people and took an important position. The connection with Daejonggyo organization became his major motivation to dedicate himself into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ria (Northeast area of China). On April 1913, Ko Pyeong took a position as a lecturer at Eastern headquarters of Daejonggyo, moved to Wangqing-hyeon, Jilin Province, to which the believers of Daejonggyo were immigrating, and devoted his life into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particular, he represented Daejonggyo at the planning of ‘Lungjing March 13th Anti-Japanese Movement,’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the development of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in Yanbien (North Gando) area. That is, as a result of his effort, ‘March 13th Anti-Japanese Movement,’ where about 30,000 Koreans participated in, took place in Lungjing of Yanbien, China on March 13, 1919. In 1919, when Euigunbu, an Anti-Japanese armed resistance group was organized, Ko Pyeong became the chief of staff and played a leading role in Anti-Japanese resistance movement. During the Battle of Bongodong on June 1920 and Battle of Qingshanli on October the same year, he made huge contribution for the unification, sponsoring and management of independence army. Again in 1920, he became the chief of staff for the independence army of Korean Revolution Army organized in Yanbien and underwent battles with the Japanese military. Later on, Ko Pyeong joined Shinminbu, an independence and autonomy movement organization of Korean residents in Manchuria, as section chief and contributed to independence movement and autonomy movement of Korean residents in Northern Manchuria area during the 1920s. During the 1930s and the first half of 1940s, he moved to mainland China and led Korea-China joint Anti-Japanese movement as chief of staff or judicial officer at the Chinese Nationalist government. In 1945, he came back to Korea and worked as an executive of Daejonggyo. In late 1949, he played a leading role as a judge at the Special Committee for Investigation of National Traitors. Unfortunately, however, in 1950, Ko Pyeong was kidnapped to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and soon was forgotten by the public. That is why we should discover, collect and arrange relevant materials of him to shed light on his life and let him be recognized by people in-and outside of Korea.

한국어

고평(高平, 초명 高高鑽)은 전라북도 부안군의 장흥(長興) 고씨 전통명가에서 1884년에 태어났다. 8세때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고씨 종가로 입양되어 8년 동 안 한학(漢學)을 수학하였다. 그후 서울로 가서 보광(중)학교와 관립 법관양성소를 졸업하고 춘천 지방법원의 검사로 한달간 근무하고 사임하여 고향 부안으로 돌아 왔다. 1911년 7월 신흥 민족종교로 세력을 확장하고 있던 대종교(大倧敎)에 입교하여 주요 직책을 맡게되었는데, 이 대종교 조직과의 연계가 만주지역(중국동북지역) 독 립운동에 투신하는 주요 계기가 되었다. 고평은 1913년 4월 대종교 동도본사(東道 本司)의 전강(典講) 직책을 맡아 대종교 신도들이 이주하던 중국 길림성(吉林省) 왕청현(汪淸縣)으로 이주하여 독립운동에 종사하게 되었다. 특히 그는 대종교 세력 을 대표하여 중국 연변지역의 3ㆍ1운동이라 할 수 있는 ‘용정(龍井) 3ㆍ13 반일시 위운동’의 기획에 참가하여 연변(延邊, 북간도) 지역의 항일독립운동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가 노력한 결과 1919년 3월 13일 중국 연변지역의 용정에서는 3만 여명의 한인들이 대거 참가한 ‘3ㆍ13 반일시위운동’이 전개되었던 것이다. 고평은 1919년 연변지역에서 항일무장투쟁 조직인 ‘의군부(義軍府)’가 조직되었 을 때 참모장의 직책을 맡아 항일무장투쟁에 앞장섰다. 1920년 6월의 봉오동전투 와 그해 10월의 청산리전투 시기에도 독립군 부대의 무기구입과 운반, 각 부대의 연합과 후원, 조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1923년에 역시 연변지역에서 설립된 고려혁 명군(高麗革命軍) 독립군부대의 참모장을 맡아 독립전쟁에 대비하였다. 이후 그는 1920년대 북만주 지방에서 조직된 독립운동조직이자 한인 교민 자치조직인 신민부 (新民府)의 과장(課長)을 맡아 북만주 지역의 독립운동과 한인 교민 자치운동에 기 여하였다. 1930년대와 1940년대 전반기에는 중국 관내(關內) 지역으로 이동하여 중국 국 민당정부의 참모장이나 법관을 맡아 한ㆍ중 연대 항일투쟁에 앞장섰다. 1945년 4월 귀국하여 대종교 간부로 활동하는 한편, 1949년 후반기에는 ‘반민족행위특별 조사위원회’ 재판관으로 활동하며 친일 민족반역자의 심판에 앞장섰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는 1950년 6ㆍ25전쟁(한국전쟁) 때 북한으로 납북된 뒤 잊 혀진 존재가 되고 말았다. 그러나 앞으로 관련 자료를 더 발굴ㆍ수집하고 정리하여 그의 생애를 새롭게 조명하고 국내외에 널리 알릴 필요가 있다 하겠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고평의 출신과 가계(家系)
3. 고평의 생애와 1910년대 대종교의 민족운동
4. 중국 연변(북간도) 망명과 독립운동
1) 용정 3ㆍ13운동 주도와 ‘독립선언포고문’
2) 대한군정서(일명 북로군정서)와 고평
3) 봉오동전투의 산파역 - 최진동ㆍ홍범도ㆍ안무 독립군 연합부대의 성립을가능케 하다
5. 1920년대 초 중국 연변지역(북간도) 독립운동
6. 1920년대 중국 동북지방(만주)에서 고려혁명군 조직과 민족운동
7. 1930년대 중국 관내(關內)지역 이동과 중국군 장교 활동
8. 해방 이후 대종교 활동과 ‘반민특위’ 재판관 활동 - 제2의 독립운동참여
9. 고평의 유족
10.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세윤 Chang, Se Yun. 동북아역사재단 수석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