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러시아지역 대한적십자회 지회의 조직과 주요 구성원

원문정보

Organization and important persons of the Korean Red Cross in Russia

박환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5집 2020.12 pp.269-29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Shanghai in April 1919, numerous efforts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were actively developed. Among them, the Red Cross Society of the Korean Empire was rebuilt as the Korean Red Cross in Shanghai in early July of the same year in order to newly develop Red Cross activities as independent citizens of Korea. Accordingly, there was a strong movement in other regions around the world where overseas Koreans lived such as the Americas and Russia to carry out humanitarian activities by creating a branch of the Korean Red Cross, and in September 1919, a temporary branch was established in Ussuriysk, a representative region of the Russian Maritime Territory. After that,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Red Cross in Russia seem to have expanded. According to the report of the first regular general assembly of the Korean Red Cross on November 15, 1919, out of a total of 999 members, 95 in Ussuriysk (Nikolsk), 148 in Irkutsk, and 54 in Tomsk were recorded. This shows that the Red Cross activities were expanding even to Central Siberia. And in terms of number, it can be seen that, compared to Korea itself and Chinese regions, the number is never small. Because, according to the report of the first regular general assembly mentioned earlier, there were 224 members in Shanghai, 29 in Beijing, 245 in Tianjin, 116 in Gyeongseong(Seoul), 15 in Liuhe County, Manchuria, 20 in Mexico, and 53 in Hawaii. It is believed that the people who influenced the Russian branch of the Korean Red Cross were Lee Dong-hwi, Moon Chang-beom, and Ahn Jeong-geun who was the younger brother of Ahn Jung-geun and who served as vice president of the Korean Red Cross. The leader of the Red Cross activities in Russia in 1920 was Park Cheo-hoo. He worked with his wife as a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Red Cross, interacting with the American Red Cross which was active in Siberia. Also, he focused on the training of nurses from the Korean Red Cross when the Red Cross Hospital in Vladivostok was established. The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Red Cross in Russia in 1921 was Kwak Byeong-gyu, a doctor from Severance Hospital in Korea. Like in Shanghai, the Russian branch of the Korean Red Cross opened a nurse training school in 1920 to foster nurses, while also participating in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to promote Korean independence. In the case of fostering special nurses, it is noteworthy that they had a certain relationship with the American Red Cross, as the nurses were trained at the American Red Cross which followed the US troops who were in Siberia at the time. It is believed that Park Cheo-hoo played a role in the connection with the American Red Cross as he had been an international student in the US. Also, as Russia is close to Manchuria, especially to the Gando area, so students from Gando were also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e nursing training. It seems that Chae Gye-bok played a certain role in the work of recruiting students from Gando. In addition, Woo Bong-un, the president of Gando Women's Association also played a big role in it.

한국어

1919년 4월 상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된 이후 조선의 독립을 위한 수많은 노력들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그 가운데 동년 7월 상순 상해에서 대한제국의 적십자회가 대한적십자회로 재건되어 조선의 자주민으로서 적십자활동을 새롭게 전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미주 및 러시아 등 해외동포들이 사는 지역에 대한적십자회 지부를 만들어 인도주의적 활동을 전개하려는 움직임이 강하게 나타났고, 1919년 9월 러시아 연해주의 대표적인 지역인 우수리스크에 그 임시지부가 설 치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러시아지역에서의 대한적십자회 활동은 보다 확대된 것 같다. 1919년 11월 15일 대한적십 자회 제1회 정기총회의 보고에 따르면, 회원 총 999명 가운데, 우수리스크(니콜스크) 95명, 이르크 츠크 148명, 톰스크 54명 등으로 기록되고 있다. 이는 적십자 활동이 시베리아 중심부 지역까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울러 수적인 측면에서도 국내, 중국지역과 비교하여 결코 적 지 않은 수를 기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앞서 언급한 제1회 정기총회의 보고를 보면, 상해는 224명, 북경 29명, 천진 245명, 경성(서울) 116명, 만주 유하현 15명, 멕시코 20명, 하와이 53명 등이었기 때문이다. 대한적십자회 러시아지부에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로서 주목되는 사람은 이동휘, 문창범, 안중 근의 동생이며 대한적십자회 부회장으로 활동한 안정근이라고 판단된다. 1920년 러시아지역의 적 십자회 활동은 주도한 인물은 박처후다. 그는 부인과 함께 시베리아에서 활동하고 있던 미국적십 자사와 교류하면서 대한적십자회 대표로 자임하며 활동하였다. 아울러 블라디보스토크에 적십자 병원 설립과 더불어 대한적십자회 간호사양성에도 힘을 기울였다. 1921년 러시아지역 대한적십자 회 대표자로는 세브란스병원 출신 의사 곽병규를 들 수 있다. 대한적십자회 러시아지부에서는 상해와 마찬가지로 1920년에 간호부양성소를 개설하여 간호부 양성을 전개하는 한편 3.1운동 1주년 행사에도 참여하는 등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특 간호사 양 성의 경우, 당시 시베리아에 출병했던 미군을 따라온 미국적십자사에서 간호수련 받는 등 미국적 십자회와 일정한 유대관계를 갖고 있음이 주목된다. 미국적십자사와의 연결은 미국 유학생인 박 처후가 일정한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러시아지역의 경우 만주 특히 간도지역과 인접해 있어 간도의 학생들을 모집하여 간호사양성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간도의 학생들을 모으는 작업에 는 채계복이 일정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간도여성회장 우봉운도 큰 역할을 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러시아지역 대한적십자회 지회의 조직
Ⅲ. 주요 구성원
1. 고문 역할-이동휘, 문창범, 안정근
2. 1920년 러시아 대한적십자회 대표 朴處厚
3. 1921년 러시아지역 대한적십자회 대표 郭炳奎
4. 러시아 대한적십자회 여성회원들
Ⅳ. 맺음말 - 3.1운동 1주년기념 행사 참여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환 Park, Hwan. 수원대학교 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