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일제강점기 호소이 하지메(細井肇)의 조선 인식과 대일본주의론

원문정보

The Perceptions of Hosoi Hajime on Joseon and Greater Japaneseis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최혜주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5집 2020.12 pp.221-24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d the perceptions of Hosoi Hajime regarding the problems of Joseon rule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and it made the following observations regarding the directions he presented for the Japanese Empire. First, Hosoi stated that the March First Movement originated from flaws of political autonomy and the absence of understanding, interest, and preparation of Japan regarding Joseon along with national character defects of the Japanese people. He viewed that research on the mentality of the Joseon people was urgently needed as a countermeasure and that the Joseon people should be made to realize that armed resistance against political autonomy is an impossibility. He criticized that even so, the Japanese government and people speak only of assimilation without any understanding of the superstitiousness, subservience to higher powers, partiality, and passion of the Joseon people. However, research on national characteristics as spoken of by him aimed at figuring out how to deal with the Joseon people. He strongly viewed the people and culture of Joseon to be inferior. Second, comparisons made with the perceptions of Shakuo, Aoyagi, Kato, and Kameoka, who were Japanese residents in Korea who witnessed sites of the March First Movement at the time, showed that they were focused on criticisms of Terauchi's military rule and assessments of external forces that instigate the Korean people. Hosoi, Shakuo, and Aoyagi took issue with the error of military rule while Kato and Kameoka did not view the state of military rule to be a cause. Aoyagi, Kato, and Kameoka were the ones who argued that the cause was the instigation of missionaries. Shakuo argued that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caused by affairs related to the governor-general and that the military government system should be reformed. Third, Hosoi argued that the special mission of the Japanese and Joseon people was to utilize the profound Indian civilization to brighten the solemn and great civilization of Asia and that this would contribute to the welfare of the human race of the world. This congenital mission theory refers to Japaneseism that states that Japan should be a ‘leader of the East’ to lead the civilization of Asia including Joseon, China, and India as one to oppose the West. It emphasizes that, for this, the youth of Joseon should not remain wretched independentists. More than anyone else, he promoted methods for the destruction of independence movements, the cultivation of pro-Japanese groups, and the strengthening of municipal administration propaganda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He supported the significance of Japan’s construction of Manchuria and made rationalizations that this was a foothold to expand King’s Road Japan with a mission out into the world as the ‘leader of the East’ and not an ‘invasion.’

한국어

이 논문에서는 호소이 하지메가 3.1운동 이후 조선 통치의 문제점을 무엇이라고 인식했는지 검 토하여 제국 일본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점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호소이는 3.1운동의 원인을 총독정치의 결함과 일본의 조선에 대한 무이해, 무관심, 무준 비에서 비롯되었고 여기에 일본인의 국민성 결함이 더해진 것이다. 그 대책으로 조선인에 대한 심 성 연구가 시급하며 조선인도 총독정치에 대한 무력저항이 불가능한 일임을 깨닫게 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런데도 일본 관민이 조선민족의 미신성, 사대성, 당파성, 격정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입 만 열면 동화를 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그가 말한 민족성 연구는 조선인을 어떻게 다뤄야 할지 파악하자는 데 목적이 있었다. 그는 조선인이나 조선 문화를 열등시하는 데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인물이었다. 둘째, 3.1운동 당시 현장을 목격한 재조일본인 샤쿠오, 아오야기, 가토, 가메오카의 인식과 비교 해보면, 데라우치의 무단통치에 대한 비판과 조선인을 선동한 외부세력에 대한 평가여부에 중점 이 있다. 호소이, 샤쿠오, 아오야기의 경우 무단통치의 과실을 문제 삼고 있는 반면 가토나 가메오 카는 무단통치의 실정 때문이 아니라고 보았다. 원인으로 선교사의 선동을 주장한 것은 아오야기, 가토, 가메오카였다. 샤쿠오는 독립운동은 총독문제에서 일어난 것이므로 무관총독제를 개정할 것 을 주장했다. 셋째, 호소이는 일본인과 조선인의 특수 사명은 심오한 인도문명을 활용하여 장엄하고 위대한 아세아문명을 빛나게 하고 세계 인류의 복지에 공헌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선천적 사명 론은 일본이 ‘동아의 맹주’가 되어 조선, 중국, 인도를 포함하는 아세아문명을 하나로 주도하여 서 양에 대항하자는 대일본주의론을 말한다. 이를 위해 조선 청년은 구차스럽게 독립론에 머물지 말 것을 강조한다. 그는 독립운동을 파괴하기 위한 방법이나 친일단체를 육성하기 위한 방법, 조선총 독부의 시정선전을 강화하는 일에 누구보다 앞장섰던 인물이다. 일본의 만주국 건설의 의미를 옹 호하여 ‘침략’이 아니라 ‘동아의 맹주’로서 사명을 가진 皇道 일본을 세계에 확장시키기 위한 발판 으로 합리화시키고 있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일본인의 3.1운동과 조선통치 인식
1. 호소이의 3.1운동과 조선통치 인식
2. 재조일본인들의 3.1운동과 조선통치 인식
Ⅲ. 조선민족의 심성 연구와 ‘내선융화’론
Ⅳ. 일본의 사명과 대일본주의론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최혜주 Choi, Hea Joo.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