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한말 군제 정비와 육군의 복장규칙 변화

원문정보

Army Maintenance and Changes in the Rules on Army Uniforms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신효승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5집 2020.12 pp.127-15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fter the opening of a port, the Joseon Dynasty strengthened armaments for military reinforcement and would train the modern army by reorganizing the military system. In this process, military uniforms were also maintained in the form of Western clothes. Especially. At the time of the Gabo Reform of 1894,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Daehan Empire’s military system, and in this process, the rules on military uniforms, too, were newly revised accordingly. And yet, the military uniforms of the Imperial Korean Army at the time were in forms similar to those of the soldiers of the Japanese Army, and such a situation further deepened as the Japanese influence was strengthened. In the Joseon Dynasty, Western-style military uniforms began to be utilized after the 1880s, but they were enacted as rules after the “Rules on Army Uniforms” were adopted as an Imperial Order. The rules at the time were concerned with the rules of uniforms centered around the officers. The rules in fact borrowed the uniforms used by the ranks lower than Sergeant Major, unlike the rules on the officers’ uniforms in the forms of military uniforms revised by the Japanese Army in 1886. Since the Korea Royal Refuge at the Russian Legation, as Korea proclaimed the Foundation of the Daehan Empire and maintained the military system, it also revised the Rules on Army Uniforms. At this time, the Rules on Army Uniforms changed the army uniforms to forms similar to those of the officers’ uniforms of the Japanese Army, unlike previous ones. The rules were revised as follows: The military cap was changed from a Pickelhaube-style helmet type to kepi type, and the jacket was too changed from single-breasted type to frog fastener type on a Pelisse jacket decorated with Austrian knots frog fastener. However, after 1900, the uniforms were changed to those of the ranks in the Japanese Army like previous ones. In that the military uniforms had close relations with the identity and homogeneity of the military, Japan’s intention was clear. The revision of the Rules on Army Uniforms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showed the Imperial Korean Army that gradually deteriorated into the forms subordinate to the Japanese Army.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rmy maintenance was centered around the guard of King Gojong and the suppression of the Donghak Peasant War that took place in Korea, rather than for the sovereignty exclusive for interventionism abroad. In this process, the Korean military was gradually reduced and deteriorated by Japan. These changes became momentum for the soldiers to participate in the Civilian Army Activity for restoring national rights. This means that the disbanded soldier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Movement in the Years of Eulmi and Eulsa as well as that in the Year of Jeongmi.

한국어

개항 이후 조선은 군사력 증강을 위해 군비를 강화하였고, 군사제도를 개편하여 근대적인 군대 를 양성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군복 역시 양복의 형태로 정비하였다. 특히 갑오개혁 당시 대 한제국의 군사제도는 상당한 변화가 있었고, 이 과정에서 군복 규정도 그에 맞춰 새롭게 개정하였 다. 하지만 당시 대한제국 육군의 군복은 일본 육군의 병졸과 유사한 형태였고, 일본의 영향력이 강화될수록 이러한 상황은 더 심화되었다. 조선에서 서구식 군복을 활용하기 시작한 것은 1880년대 이후였지만, 규정으로 제정한 것은 1895년 ‘陸軍服裝規則’을 칙령으로 정한 이후였다. 당시 규정은 장교 중심의 복장규칙에 대한 것 이었다. 이 규정은 일본 육군이 1886년 개정한 군복 형태 중 장교 복장 규정과 달리 일본 육군의 조장 이하 병졸이 사용하는 복장을 사실상 차용한 것이었다. 아관파천 이후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군사제도를 정비하면서 육군의 복장 규칙 역시 개정하였 다. 이때 육군 복장 규정은 이전과 달리 일본 육군의 장교 복장과 유사한 형태로 바뀌었다. 피켈 하우베(Pickelhaube)식의 헬멧형 군모에서 캐피(kipe)형의 군모로 변경되었고, 상의 역시 싱글 브 레스티드식에서 팰리스 자켓(pelisse jacket)에 오스트리아 매듭으로 장식한 매듭 단추(frog fastener) 형태로 규정을 개정하였다. 하지만 1900년 이후 이전과 같은 일본 육군의 병졸과 같은 형태로 변경되었다. 군복이 군대의 정체성, 동질성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측면에서 일본의 의도는 분명하였다. 한말 ‘陸軍服裝 規則’의 개정은 점차 일본 육군에 종속적인 형태로 변질되고 있던 대한제국 육군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한말 육군의 정비는 대외 간섭에 배타적 주권을 위한 것보다 고종의 호위와 국내에서 일 어나고 있던 동학농민전쟁 등을 진압하는 것이 중심이었다. 이 과정에서 일본에 의해 군대는 점차 축소되고 변질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군인이 국권회복을 위해 의병활동에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 다. 단순히 1907년 군대 해산 이후 정미의병만이 아닌 을미의병과 을사의병에도 해산 군인이 적 극적으로 참여했음을 의미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군제 개혁과 1895년 ‘陸軍服裝規則’ 제정
Ⅲ. 갑오개혁과 ‘陸軍服裝規則’ 개정
Ⅳ. 1900년 이후 육군 복장 규칙 변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신효승 Shin, Hyo Seung. 동북아역사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