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선사∼고대 광장과 의례 공간의 변화

원문정보

Changes in the Square and ceremonial space from prehistoric to ancient times

宋滿榮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tries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square in archaeology and examines the process of change and its meaning of the square from the Neolithic Age to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As a result, it was understood that the square was a public space operated by the community, including functions such as rituals, as well as festivals, meetings, and exchange of goods. During the Neolithic Age, ceremonial spaces were not particularly distinguished in the square. However, in the Bronze Age, a medium and a large-scale settlement were formed, and in order to strengthen the identity of members of the community who came from the outside, the circular ditch-enclosed facility which was a facility specialized in ceremonial space appeared in the square. In addition, large circular ditch-enclosed facilities were built in a separate space outside the settlement during the circular clay rim earthenware stage, which shows the emergence of local ritual spaces. Besides, from the Bronze Age to the circular clay rim earthenware stage, ceremonial spaces and squares were created by voluntary efforts by members of the settlement, and thus had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goods. However, ceremonial spaces and squares since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ere not only created by specific individuals' political powers but also used as a means of increasing political power.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고고학에서의 광장 개념을 정리하고 신석기시대부터 백제 한성기까지 광장의 변 화 과정과 그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광장을 취락 차원에서 운영한 공공재 공간으로 파악하였으며, 축제와 회합, 물품 교환 등의 기능을 하는 공간뿐만 아니라 의례 공간까지 포함하 는 개념으로 이해하였다. 신석기시대 광장에서는 특별히 의례 공간이 구분되지 않았지만, 청동기 시대에는 중·대형 취락이 형성되면서 외부에서 유입된 취락 구성원들의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광장 내에 의례 공간이 특화된 환구 시설이 출현하였다. 그리고 원형점토대토기 단계에는 규모가 큰 환구 시설이 취락 외부의 별도의 공간에 조성되는데, 이는 지역 단위의 제장이 출현하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청동기시대∼원형점토대토기 단계까지만 해도 취락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노력에 의해 의례 공간과 광장이 조성되어 공공재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원삼국시대 이래의 의례 공간 과 광장은 특정 개인의 정치 권력에 의해 조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치 권력을 신장하는 수단으 로 활용되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선사∼고대 광장과 의례 공간 사례 검토
1. 신석기시대 광장
2. 청동기시대∼원형점토대토기 단계의 광장과 의례 공간
3. 원삼국∼한성기 백제 광장과 의례 공간
Ⅲ. 광장과 의례 공간의 변화와 의미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宋滿榮 송만영. 숭실대학교 사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