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페루 공포 시기의 소설과 연극의 사회적 기능 : 훌리오 오르떼가와 유야츠까니 극단의 <잘 있어라, 아야꾸초>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Social Function of Novel and Theatre in the Time of Fear in Peru : A Study of Goodbye, Ayacucho of Julio Ortega and Theatre Group Yuyachkani

송병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years between 1980 and 2000 in Peru are known as ‘Manchay Tiempo’, a hybrid Quechua/Spanish term that literally translates as ‘the time of fear’. Many cultural and artistic texts in different genres provide many examples of the political violence during this period of the internal civil war. Among them Goodbye, Ayacucho stands out and fulfills its social role not only because it was published in the year in which terrorism had culminated its threat to the government, but also presents an experience similar to that which many Peruvians have experienced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his article examines the sociopolitical meaning of novel Goodbye, Ayacucho through its critical reception to explain breifly the main themes and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vel and the performance of the collective theater group Yuyachkani. If the migration from the novel to the theatre occurs, it may be in the ideological reception of Adiós Ayacucho, because the marks of andeanization are more explicit than the orignal novel. Here, more attention is paid to the version adapted to the theater than the original novel, due to the fact that the play has been presented for thirty years, making the memory and trauma of the internal war more visible than the novel and transmitting the violent conflict that no one in power wants to acknowledge.

한국어

페루에서 1980년부터 2000년까지의 기간은 ‘만차이 띠엠뽀(Manchay tiempo)’라는 이름 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케추아어와 스페인어로 이루어진 이 합성어는 ‘공포 시기’라고 번역될 수 있다. 페루의 많은 예술가는 이 기간에 일어난 내전, 혹은 정치 폭력을 예술로 상징화했다. 특히 소설 『잘 있어라, 아야꾸초』는 테러리즘이 절정에 이르면서 페루를 위협하던 시기에 발표되면서 그 어느 작품보다도 강력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20세기 말에 수많은 페루사람 이 겪은 경험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 글은 소설 『잘 있어라, 아야꾸초』의 사회‧정치적 의미와 문학 비평계의 수용을 종합적으로 살 펴보고, 이 작품을 각색한 동명의 극본과 공연을 분석하여, 소설에서 연극으로 이동할 때 나타나 는 차이에 내재하는 ‘안데스화’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글은 소설 원작보다 유야츠까니 (Yuyachkani) 극단의 <잘 있어라, 아야꾸초>를 분석하는 데 더 치중하고 있는데, 이것은 이 작품 이 30년 넘게 공연되면서 원작인 소설보다 내전의 기억과 트라우마 문제를 더 성공적으로 가시 화했고, 아무도 인정하지 않고 눈에 띄지도 않는 폭력적 분쟁을 전했기 때문이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페루 공포 시기와 『잘 있어라, 아야꾸초』
II. 소설 『잘 있어라, 아야꾸초』의 내용과 의미
III. 유야츠까니 극단과 연극 <잘 있어라, 아야꾸초>
IV. 소설에서 극본으로 이동하기: 형식적 특징과 그 의미
V. 고유명사와 보통명사의 차이, 그리고 잉카리 신화의 의미
VI. 맺음말: <잘 있어라, 아야꾸초>와 페루 진실과 화해 위원회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병선 Byeong Sun Song. 울산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