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시마 유키오 『금각사』에 나타난 미의 원리 - ‘문화천황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Principle of Beauty in Yukio Mishima’s The Temple of the Golden Pavilion : Focusing on Its Relationship with the Ideology of ‘Cultural Emperor’

홍윤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Yukio Mishima’s novel The Temple of the Golden Pavilion was serialized in the magazine Shincho from January to October 1956 and received high praises from critics at the time of publication. The reason for the high evaluation is that the novel represented well what is ‘beauty’ through its elaborate organization and plot. Yukio Mishima is a writer reputed for his ‘aesthetic sensibility’, and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Temple of the Golden Pavilion is the pinnacle of this aesthetic sensibility. This study examines the elements of beauty depicted in the novel, analyzes how the aesthetic sensibility has to do with the Tenno ideology by which Yukio Mishima was fascinated in his later years, and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the act of Mizoguchi setting fire to the Golden Pavil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ollowing three elements are the common aspects found in the ideology of cultural emperor and the beauty of the Golden Pavilion: the beauty that is conceptually reconstructed, the aesthetics of irony, and the psychological distance. Mizoguchi’s act of setting fire to the Golden Pavilion can be viewed as an attempt to eliminate an object that is no longer beautiful and to rebuild ‘beauty’ in one’s idea. In other words, Mizoguchi sets the pavilion on fire because the building that remains after the war does not conform to Mishima’s idea of beauty. Therefore, the act can be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consummate the beauty that the author has in mind.

한국어

미시마 유키오의 『금각사』는 1956년 1월부터 10월까지 잡지 『신초』(新潮)에 연재된 소설 로 발표 당시 평론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 소설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은 치밀한 구성으로 ‘아름다움’(美)이란 무엇인지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미시마 유키오는 곧 ‘미의식’으 로 대표되는 작가인데, 『금각사』는 미시마 ‘미의식’의 정점을 이루고 있는 소설로 평가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소설 『금각사』에 그려져 있는 미(美)의 요소에 관해 고찰 하고, 이러한 미의식이 미시마 유키오가 만년에 빠져들었던 천황주의 사상과 어떠한 점에서 공통점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미조구치가 금각에 불을 지른 행동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했다. 그 결과 첫째, 관념 속에서 재구성한 미, 둘째, 아이러니의 미학, 셋째, 심리적 거리 감, 이렇게 세 요소가 문화천황제와 금각의 미의 공통점인 것을 밝혀내었다. 금각에 불을 지 른 미조구치의 행위는 결국 더 이상 아름답지 않은 대상을 없애고 관념 속에서 다시 ‘미’를 구축하려고 하는 행위라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미조구치가 금각에 불을 지른 것은 전후 그 자리에 계속 머물러 있던 금각이 미시마의 ‘미’의 원리에 부합하지 않았기 때문이고, 미를 완 성하고자 하는 행위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관념의 세계에서 구현되는 아름다움
3. ‘불안’과 전체성의 미학
4. 『금각사』에 나타난 전후 일본 비판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홍윤표 Hong, Yunpyo. 성신여자대학교 일본어문・문화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