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판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에 대한 평가절하 척도(DPSOS) 타당화 연구

원문정보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isqualification of Positive Social Outcome Scale (DPSOS)

안정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valida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disqualification of positive social outcome scale (DPSOS), which measures the tendency to devalue positive social experiences, one of the cognitive traits of people with a social anxiety disorder. The DPSOS was administered to 220 adults. To verify convergent validity, social anxiety symptoms, and cognitive states/traits of social anxiety were measured. The self-construal scale was also conducted to demonstrate discriminant validity.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DPSOS was consistent with the two-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scale. The DPSOS showed good reliability and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The DPSOS is a reliable and valid scale that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cognitive traits of social anxiety disorder, and can be usefully used dur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한국어

본 연구는 사회불안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인지적 특성 중 하나인 긍정적 사건의 평가절하 경 향성을 측정하는 한국판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에 대한 평가절하 척도를 타당화 하였다. 220 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에 대한 평가절하 척도를 시행하였다. 수렴 타당 도 검증을 위한 사회불안 증상, 사회불안의 인지적 상태 및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변별 타당 도 검증을 위해 자기 구성개념 척도를 시행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판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에 대한 평가절하 척도가 원척도의 2요인 구조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척 도는 신뢰도가 우수하고 수렴 및 변별 타당도가 양호하였다.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에 대한 평가절하 척도는 사회불안장애의 인지 특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 한 척도로 향후 인지행동치료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 대상
측정 도구
분석 절차
결과
DPSOS의 확인적 요인분석
DPSOS의 문항 및 신뢰도 분석
DPSOS의 수렴, 변별 타당도 분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정광 Jung-Kwang Ahn.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