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불안과 우울 : 행동 활성화 체계와 인지적 재평가의 조절된 조절 효과

원문정보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and Cognitive Reappraisal

강진원, 양재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existence mechanism of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cognitive reappraisal (CR) and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in contributing to depression. Specifically, the three-way interaction between social anxiety, BAS, and CR was tested. For this purpose, 359 participants completed the Social Phobia Scale (SPS),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 BiS/BAS scal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ERQ),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using PROCESS macro for moderated moder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way interaction between social anxiety, BAS and CR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higher the CR and the level of the BAS, the less depression was experienced by individuals with high social anxiety. On the contrary,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tendency to experience more depression was found in individuals with high social anxiety when CR was low and BAS was high.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tection and risk factors that make persons with social anxiety experience depression can change according to the condi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과 우울의 공존 기제에 대해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생물학적 기제인 행동 활성화 체계와 정서 조절 방략 중 한 가지인 인지적 재평가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사회불안, 행동 활성화 체계, 인지적 재평가가 상호작용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으로 표집한 359명을 대 상으로 사회적 공포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척도, 행동 억제 체계/행동 활성화 체계 척도, 정서 조절 질 문지, 한국판 역학연구 센터 우울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조절된 조 절 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불안, 행동 활성화 체계, 인지적 재평가 사이에 삼원 상호작용이 유 의했다. 구체적으로, 인지적 재평가가 높고 행동 활성화 체계 수준이 높으면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우울을 덜 경험하였다. 반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 가깝게 인지적 재평가가 낮고 행동 활성화 체계가 높으 면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우울을 더 경험하는 경향성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회불안 수준에 따 라 우울을 경험하게 되는 보호 및 위험요인이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자료분석
결과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행동 활성화 체계와 인지적 재평가의 조절된조절 효과
유의성 영역 검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진원 Jin-Won Kang.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양재원 Jae-Won Yang.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