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백파 긍선의 십선계 주장과 계율적 경향

원문정보

On the Monk Paekp’a’s Ten Wholesome Precepts and the Preceptive Tendencies

이자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focuses on the ordination part of Paragon of Rules on Conduct 作法龜鑑(K. Chakpŏp kwigam) book published in 1827, the arguments of Paekp’a Kŭngsŏn(白坡亘璇, 1767-1852)’s ten wholesome precepts 十善戒 and the preceptive tendencies or significance contained therein. Looking at the Paragon of Rules on Conduct, Paekp’a is greatly disheartened by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Buddhist monk aqueduct consciousness at the time and the confusion of the denomination resulting from this, and seeks to improve this confusion through the ten wholesome precepts accompanied by true repentance. It is believed that the ten wholesome precepts can promote the inner improvement of the monks in that it is a system that can control the defilements of the bodily actions, speech, and thought, especially the ‘thought 意’. Originally, as Four Part Vinaya 四分律, it is the traditional method to receive bhikṣu ordination, so it is argued that it is not in accordance with the aquatic tradition that only the ten wholesome precepts can be received. However, Paekp’a has given important meaning to the ten wholesome precepts by faithfully following the traditions such as the Yogâcāra precepts and Jinpyo 眞表’s repentance practice, which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ommandment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In addi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determination of self-purity, the ten wholesome precepts is positioned within the three categories of pure precepts 三聚淨戒, so that the monks naturally grasp the pure nature of their own, so that they naturally leave evil and develop the good, and furthermore, they take an independent position to provide relief for rebirth. By adding them, bhikṣu has established itself as the ultimate commandment that can complete the bodhisattva practice.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1827년에 간행된 『작법귀감(作法龜鑑)』의 수계 부분을 중심으로 백파 긍선(白坡亘璇, 1767~1852)의 십선계(十善戒) 비구 수계법 주장을 살펴보고, 그안에 담긴 계율적 경향 내지 의의를 고찰하였다. 『작법귀감』을 보면, 백파는 당시 전통적인 비구 수계의식이 붕괴된 현실과 이로 인한교단의 혼란에 크게 상심하며 진정한 참회를 동반한 십선계 수계로 교단의 질적 개선을도모한다. 십선계는 신구의(身口意) 삼업, 즉 ‘마음[意]’의 번뇌까지 고려한 계이므로 이를 잘 수지하면 출가자들의 내적 변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원래 비구 수계는『사분율』 등의 율장에 규정된 ‘이백오십계 구족계’ 수지가 정통적인 방식이므로, 십선계수계는 전통에 부합하지 않는 주장이다. 하지만, 백파는 한국불교의 계율 전통에 큰 영향을 미쳐 온 유가계 계통의 삼취정계(三聚淨戒)나 진표(眞表)의 망신참회(亡身懺悔)와밀접한 관련이 있는 『점찰선악업보경』의 참회 사상 등의 전통을 충실하게 답습하면서십선계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 또한 자성 청정의 각오(覺悟)라는 입장에서 십선계를삼취정계 안에 자리매김하여, 출가자가 자타의 청정한 본성을 있는 그대로 파악함으로서자연스럽게 악을 떠나 선을 계발하고, 나아가 중생을 구제한다고 하는 독자적인 입장을가미하여 비구가 보살행을 완성할 수 있는 궁극적인 계율로 십선계를 위치지우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백파 긍선의 십선계 주장
Ⅲ. 십선계 주장의 근거와 의의
Ⅳ. 참회식으로서의 비구 수계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자랑 Lee, Ja-Rang.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