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특집 : 자본주의 운영원리와 유교담론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유교 윤리 소환과 경제 갱생 프로젝트 - 익산문묘(益山文廟)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Establishment of Hyangyak(鄕約) in Iksan-hyanggyo(益山鄕校) and Community Activities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설주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conomy of Japanese imperialism shrank in 1930 due to the economic depression that continued from 1920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e policy, where villages independently rehabilitated economy, in order to revitalize the economy of the Colonial Joseon. This was the so-called ‘Rural Development Movement.’ This policy aimed to solve country’s poverty through the revival of rural economy. However, it focused on changing farmers’ ‘thoughts’ rather than spreading farming techniques. It attempted to execute the colonial policy smoothly by assimilating farmer’s thoughts to colonialism. The spirit tha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pread to villages was the ‘spirit of sacrifice that even sacrifices one’s life for the country.’ At this time, sacrifice was promoted as a noble image. In 1932,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rought back and implemented Hyangyak(鄕約) that had been commonly used in pre-modern Joseon society in order to encourage spirit of sacrifice in people. Due to the nature of Hyangyak, it was socially appropriate to promote the good, be aware of the bad, and help the ones in need. Therefor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elieved that Hyangyak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economic revival and dominating public sentiment. Hyangyak that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mplemented was added with the additional goals, ‘industrial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lif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Hyangyak. In accordance with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encouragement of Hyangyak, Hyangyak was newly established in Iksanhyanggyo Confucian School in January 1935. On the outside, it was in the form of a community but, in fact, was an official organization created and encouraged to be implemented by the administration of imperialism. Therefore, this Hyangyak focused on spreading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ruling policies to villages rather than ethical reformation of local residents.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bsorbed the asset owned by Hyangyak and individual asset of the members of Hyangyak as colonial funds. Also, it attempted to convert the ideology of individual members of Hyangyak to pro-colonialism through continuous lectures. Since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the activities of Hyangyak changed. It was to change the mass of Colonial Joseon accordingly to wartime conditions. Therefore, it began promoting conscription system, pressing for wartime money, encouraging the production of war supplies, and saving war supply consumption. Since 1940s when the economy deteriorated even further,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onsidered that economy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outcome of war, and emphasized labor to increase productivity of the country.

한국어

1920년대부터 연달아 발생한 공황으로 1930년 일본 경제는 만성적 위축 상황에 직면하였다. 조선총독부는 경제를 활성 시킬 방안으로 농가가 자체적으로 경제 갱생을 도모하는 ‘농가경제갱생계획’ 즉, 농촌진흥운동을 수립·시행하였다. 농촌진흥운동은 농 가 경제를 갱생시켜 국가적 궁핍을 해결하는데 목적을 두었지만 영농 관련 기술의 보급 이 아닌 농민의 ‘정신’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조선총독부가 농가에 보급하고자 한 정신은 ‘숭고한 희생적 봉공심(奉公心)’과 ‘자기를 바치는 노력’이었다. 1932년 조선총독부는 이 ‘숭고한 정신’을 유도하기 위해 조선 사회에서 통용되던 향약 덕목인 ‘덕업상권(德業相勸),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교(禮俗相交), 환난상휼 (患難相恤)’에 주목하였다. 향약의 특성상 경제적 자립 문제뿐만 아니라, 지역 민심을 지배 정책에 알맞게 ‘교화(敎化)’하고 민풍을 ‘개선’할 수 있는 덕목이라 판단하였기 때문 이다. 1933년 학무국장은 모든 향약 단체에 기본 덕목인 덕업상권, 과실상규, 예속상교, 환난상휼 외에 ‘생활개선(生活改善)’과 ‘산업장려(産業獎勵)’라는 두 개의 조목을 추가 하도록 하였다. 조선총독부가 추가적으로 지시한 ‘생활개선(生活改善)’과 ‘산업장려(産業獎勵)’는 자 력(自力)에 의한 생산성 고양으로 경제 갱생을 도모하는 농촌진흥운동의 목적과 맞닿아 있다. 조선총독부는 촌락 사회의 구성원인 개인의 생활을 향약 규약으로 통제하여, 개인 에게 적극적인 경제 활동의 수행을 종용하고 이로써 ‘봉공(奉公)’을 유도하였다. 결국 일제강점기 향약은 지역공동체 구성원에게 식민지배 정책에 적합한 생활방식을 강권하 기 위해 마련된 ‘선택된 전통’이자, 변형되어 ‘소환된 전통’이었다. 조선총독부의 장려에 따라 1935년 1월 익산문묘(益山文廟)에 향약이 신설되었다. 외피는 지역공동체의 형식을 띠었지만 식민 행정 권력에 의해 배태된 익산문묘 향약은 활동 측면에서 관변적 성격을 보였다. 조선총독부는 향약이 지닌 재산 또는 향약 구성원 이 지닌 재산을 식민통치에 흡수하려는 ‘물질적 동원’과 향약 구성원의 신체를 식민지배 체제에 적용시키는 ‘인적 동원’ 두 가지를 목적으로 설정하고 향약을 동원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경제대공황과 유교 윤리 의식의 ‘변형적’ 소환
Ⅲ. 익산문묘의 경제 갱생 활동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설주희 Seol Juhee.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