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제국- 식민지 생명주의의 자장과 정치

제국일본의 생명정치와 ‘황도주의’ 우생학 - 고야 요시오의 ‘민족생물학’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Bio-politics of Imperial Japan and Eugenics of “Japanese Imperialism”

서동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Yoshio Koya has a unique position in the history of eugenics in Japan. During the Daisho period(1912-26), He was a scholar of sanitary studies. But at the same time, he was an artist who created novels and plays. Through the mid󰠏1930s, he built his own sanitary science called “Rassenbiologie”. And during the war, he was deeply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wartime population policy as a welfare official. In other words, he was a mediator who incorporated the eugenics of non󰠏institutional studies and the eugenics into the population policies of wartime countries, while at the same time trying to reflect his “Rassenbiologie” in population policies. His career as an “eugenologist” cannot be considered separately from the history of modern Japanese eugenics combined with the nation's population policy.

한국어

고야 요시오는 일본의 우생학사에서 독특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다이쇼 시기 고야 요시오는 위생학을 연구하는 학자이면서 동시에 소설과 희곡을 창작하는 ‘예술가였다. 그러나 그는 독일 유학을 계기로 ‘예술가’에서 ‘위생학자’로 변모해갔다. 1930년대 중반을 거치면서 그는 ‘민족생물학’이라는 독자적인 위생학을 구축했다. 그리고 전쟁기에는 후생성 관료로서 전시기 인구정책의 수립과 실행에 깊숙이 관여했다. 즉 그는 재야의 우생학을 전시국가의 인구정책에 접목시킨 매개자이면서 동시에 자신의 ‘민족위생학’을 인구정책에 반영시키려 했던 실행자였다. 그의 ‘우생학자’로서의 이력은 근대일본의 우생학이 국가의 인구정책과 결합해 가는 역사와 분리해 생각할 수 없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생명의 표현’에서 ‘민족의 생명’으로
2.2 ‘민족생물학’에서의 ‘민족’과 ‘문화’
2.3 일본인의 ‘정신형질’과 ‘황도주의’
3. 결론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서동주 Seo Dong-ju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조교수, 일본근현대문학과 사상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