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Koreanische Beiträge>

막스 베버의 목적합리성 : 정책연구의 합리성 개념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보완

원문정보

Max Weber's purposive rationality : a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rationality in policy studies

김성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rationality used in the modern policy studies and Max Weber's purposive rationality (Zweckrationalität) in terms of means-ends relation. In policy studies, there is a naturally formed means-ends relationship because policy activities are aimed at solving social problems, which are defined in the framework of policy goals and instruments. This framework corresponds to Weber's purposive rationality. In Weber's approach of value-fact separation, it can be considered that science provides knowledge about goal-means causality in the realm of facts and thereby contributes to solving social problems. Weber expressed the role of science in terms of clarity (Klarheit), a sense of proportion (Augenmaẞ) and concentration on the object of concern (Sachlichkeit). The distinction between value ​​and fact is the basic principle of logical positivism, and policy studies have also developed from this methodology. However, since the positivist method cannot resolve various, competitive values and interests associated with social problems, policy research alternatively attempts an interpretive approach of the argumentative turn. It is based on a new understanding of the communicative rationality. In conclusion, Weber's two works on the purposive rationality provide a critical approach to the functional understanding of rationality inherent in modern policy studies. And the argumentative turn, based on the communicative rationality, provides an alternative to the concept of positivist rationality used in policy studies.

한국어

본 연구는 현대적 정책연구의 기본 관점인 ‘합리성’ 개념과 막스 베버의 ‘목적합리성’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사회적 문제해결을 지향하는 정책 활동에는 목적-수단의 관계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는데 이것은 베버의 목적합리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가치와 사실을 구분하는 베버의 접근에서 과학은 사실 영역에서 목표-수단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여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한다. 이를 베버는 명료함, 목측능력, 사실성 등 여러 가지 용어 표현하고 있다. 가치와 사실의 구분은 논리실증주의 및 행태주의와 같은 사회과학 방법론의 원칙인바, 정책연구도 이러한 방법론에서 발전하였다. 그러나 현실의 정책문제에 작용하는 다양한 가치와 이해관계를 실증주의 방법만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어서 정책연구는 ‘논증적 전환’을 통한 해석적 접근을 취하는데 여기에는 ‘의사소통 합리성’이라는 합리성의 새로운 이해방식이 작용한다. 베버의 목적합리성에 관한 2차례의 강연(1919)은 현대 정책학이 사용하는 합리성 개념에 내재하는 기능적인 이해방식을 비판적으로 접근하게 하며, 의사소통합리성을 원용하는 ‘논증적 전환’은 정책연구에서 기존 합리성 개념이 갖던 실증주의적인 한계를 보완해 준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연구의 목적과 내용
II. 합리성: 개념적 고찰
III. 합리성 개념의 한계와 보완적 접근
IV. 목적합리성의 재검토: 현대적 의의
V. 결론 및 요약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성수 Kim, Seong Soo. 한국외국어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정치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