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어교육에서 효 문화교육의 방향성 탐색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고찰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Exploring the direction of HYO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curriculum

김지안

한국효학회 효학연구 제32호 2020.12 pp.77-10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find the direction of HYO culture education in Korean culture education by grasping the flow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is the standar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Curriculum”, “use” and “u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read. In terms of cultural education, “practicality” was rea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more and more over time.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HYO’ cultural education, which is a unique sentiment of Korea and a universal sentiment of mankind. By organizing the concept of traditional HYO and modern HYO, we sought ways to advance “HYO”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it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wo-way 'HYO' rather than one-sided 'HYO' as mutual respect. Second, it suggested that 'HYO' is to love each other in terms of humanity. Third, it emphasized that mutual respect and love for humanity should eventually go in the direction of “practice”. The “HYO” culture content was not presented in the “International Korean Standard Curriculum”. However,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HYO’ cultural education must be taught.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의 기준인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흐름을 파 악하여 한국어문화교육에 있어 효 문화교육의 방향성을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서 한국어교육의 ‘사용’과 ‘활용’을 읽어내고 문 화교육 측면에서는 ‘실제성’을 읽어냈다. 한국어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한국의 독 특한 정서이면서 인류 보편적 정서인 ‘효’ 문화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전통적 효의 개념과 현대적 효의 개념을 정리하여 한국어교육에 있어 ‘효’ 문화교육이 나 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첫째 상호존중으로 일방적인 ‘효’가 아니라, 양방향적인 ‘효’의 중요성을 제시 하였고, 둘째 인류애적인 측면에서 ‘효’가 서로 사랑하는 것임을 시사하였다. 셋째 상호존중과 인류애가 결국에는 ‘실천’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는 ‘효’ 문화 내용이 제시되어 있지는 않 지만, 한국어의 지속 가능 발전을 위해 ‘효’ 문화교육은 반드시 교수·학습 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문화 영역 분석
Ⅲ. 한국어교육에서 효 문화교육의 방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지안 Kim, Ji-An.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