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中國 中世期 불상의 複製와 流通 - 4세기에서 7세기 중엽까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Research on the Re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the Buddhist Statues in Medieval China

중국 중세기 불상의 복제와 유통 - 4세기에서 7세기 중엽까지를 중심으로 -

소현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plores the aspects of Buddhist culture in Medieval China through the reproduction of Buddhist statues, which took place between the 4th and mid 7th centur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cords and the existing Buddhist statues, I examined which Buddhist statues were reproduced, why they were reproduced, and who led the reproduction and its circula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reproduction of Buddhist statues was the legitimacy of the statues. The statues that were handed down in India, or that caused miracles, were believed to have legitimacy. Thus, the Asokan statues, which were known to have originated in India, and the statues made in China, which showed many miracles, were mainly reproduced. By the second half of the sixth century, the pattern of reproduction of Buddhist statues had changed. The statue as “true visage” which represent the image of Buddha appeared. And Buddha statues painted by famous artists were widely copied, reflecting the perception that outstanding paintings have the power to call miracles. The distribution of cloned Buddhist statues means the expansion of Buddhist faith. Thus, monks led the reproduction of the Buddhist statues. The powerful believers also began to cloning Buddhist statues to share its superpowers. In general, however, the duplicates created by the two classes were distributed only in some areas. The distribution of the Buddhist statues by the Emperor Yang of the Sui Dynasty(隋煬帝) broke this limit. The nationwide spread of the cloned Buddhist statues was a sign of the development of a new Buddhist culture different from the past in that it was the establishment of a standard Buddhist statue by the emperor.

한국어

본 연구는 4세기-7세기 중엽까지 이루어진 ‘불상의 複製’를 통해 중국 중세 불교문화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기록과 실물자료 등을 통해 어떤 상이 복제되었으며, 그리고 왜 복제되었는지를 분석하고, 나아가 누가 복제를 주도했는지 고찰하였다. 불상 복제의 가장 큰 動因은 불상이 가진 正統性이었다. 정통성의 연원은 인도에서 유래했다는 전승, 기적과 영이의 서사였다. 그리하여 전래상으로서 많은 기적을 일으켰던 아육왕상계 불상과 출현과정이 신이했던 중국상들이 주로 복제되었다. 6세기 후반에 이르면 복제의 양상이 변화한다. ‘부처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한 진용상’들이 새롭게 등장했다. 그리고 뛰어난 그림에 ‘感神通靈’의 능력이 있다는 인식을 반영해 張僧繇 같은 유명화가가 그린 불상이 전 계층에 걸쳐 널리 복제되었다. 복제상의 유통은 불교신앙의 확장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불교의 확장을 목표로 하는 승려들이 불상의 복제를 주도했다. 여기에 유력한 재가신자들 역시 原像이 가지는 영험을 공유하기 위해 불상의 복제에 나섰다. 그러나 두 계층에 의한 불상의 복제와 복제상의 유포는 일부 지역에 한정되었다. 隋 煬帝에 의한 복제상의 전국적인 유포는 이런 한계를 깨뜨렸다. 복제상의 전국적인 유포는 ‘황제권력에 의한 표준상의 정립’이라는 점에서, 과거와 다른 새로운 불교문화의 전개를 예고하는 것이었다.

목차

I. 머리말
II. 어떤 상이, 그리고 왜 복제되는가?
III. 불상 복제의 담당자와 複製像의 유통
IV.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소현숙 So, Hyunsook. 덕성여대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