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순암 안정복의 四書 해석

원문정보

Interpretation of Four Books by Sunam(順菴) An Jeong-bok(安鼎福)

순암 안정복의 사서 해석

함영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on the interpretation of Four Books by Sunam An Jeong-bok. The outcome of studies related to Gyeonghak(經學) (a book of interpreting Four Books) of Sunam An Jeong-bok have been rather lackadaisical compared to his status in academic history. Through a little bit more sophisticated reading method, it is needed to explore in more profoundly for the point of view on his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Gyeonghak. The academics of Jeongsan Lee Byung-hue and Nokam Gwon Cheol-sin who succeeded the open and progressive perception of Seongho was completed in the era of Dasan, but the outcome accomplished by the Hahak was rather insufficient. On the contrary, the academic line handed down by Sunam through Haryeo Hwang Deok-gil was even more prosperous thereafter through Seongjae Heo Jeon that the publication of 『Seongho-jip』 and 『Sunam-jip』 in the 20th century had the aspect to succeed the academic tradition led from Toegye. Sunam An Jeong-bok specifically emphasized the Hahak in the Hakmungwan of the traditional Confucius family for the Hahak with report to senior.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it was accepted after the 30s when his Hakmungwan was established up to the later years. Under his Gyeonghak study, he placed the primary importance in practicing the clear and manifested true intent rather than emphasizing the search for new meaning Therefore, rather than the approaches for comparing the conventional annotation in analytical way or attaching the opinion of Zhu Xi in more detailed aspect, he had the priority in reading method in additional aspects to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main text for more implicative ways or flawless feature in the scriptures of wise men, useful meaning on practice that may be gained from the main text, review on inquiries in the factual interpretation and methods to accurately read the meaning of the main text in the Korean interpretation of Chinese classics. With respect to the scriptures and holy men, he displayed the affection for esteem and respect with the apologetic position and considered Confucius and Zhu Xi as almost the same to focus on proving the flawless feature but with respect to the contradiction on ceremonial rituals and others, such as the issue of righteousness of 'Mengzi Buljonju or marriage or Soon(舜), he made detours or deviation by way of reserving his interpretation or pointing out the errors in the text. In addition, he displayed his fierce practical tendency in reading method of the scriptures and it was particularly conspicuous in the question and answer approach of Confucius and disciples and interpretation on the 'Myeongmyeong- deok (明明德)' of 『Daehak』. Making the criticism of historic data by comparing and reviewing a number of historic bibliographies with the exercise of care in the exposition of paragraph system(名物制度) and others, or projection of experience in civil administration in the acceptance of justifiable terms of Korean interpretation of Chinese classics in reading of main text of the scriptures, interpretation if the cheongsongjang and so forth would be the characteristic aspect for the Four Books interpretation of Sunam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Neo-Confucianism reading method. It is an academic issue of the time that may be enthusiastically assessed with the reforming logics within the Neo-Confucianism that was intended to breakthrough by Sunam as striving for secular learning. As in the case of Dasan, as it was newly interpreted by deviating from the Neo-Confucianism, it demonstrated that Sunam showed the fact that there was a way to have the conversion through the internal innovation of the Neo-Confucianism interpretation other than the method of penetrating the issues of the Neo-Confucianism interpretation and this is related to the organic features of interpreting the scriptures and its practical context, and for Sunam, it was responded with the serious pursuit of bibliographic critique on truth of text and logics of the Hahak. Furthermore, it would be noted for the view of understanding the scriptures with the condition of practice and certain pursuit in understanding on the fact itself. In the foregoing points, the interpretation of Four Books by Sunam should be evaluated enthusiastically as the attempt for reformation within the Neo- Confucianism, and under this point, it also could be attributed as the deployment of Silhak(實學, practical studies) that has slightly different point of view.

한국어

이 연구는 순암 안정복의 四書해석에 대한 연구이다. 순암 안정복의 경학과 관련한 연구성과는 그가 차지하는 학술사적 위상에 비해서는 다소 저조한 편이다. 좀 더 세밀한 독법을 통해 그의 경학 인식과 해석의 관점은 좀 더 주의깊게 탐구할 필요가 있다. 성호의 개방적인 인식을 전수한 정산 이병휴와 녹암 권철신의 학문은 다산에 이르러 집대성되지만 그 후학들이 이룩한 성과는 다소 미약했다. 그에 비해, 순암이 하려 황덕길을 통해 전수한 학맥은 성재 허전을 통해 그 이후로 더욱 번성했다. 20세기 초에 이르면 『성호집』과 『순암집』이 발간됨은 물론 퇴계로부터 이어지는 학문적 전통을 지금까지도 계승하 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순암 안정복은 하학상달의 전통적인 유가 학문관에서 특히 하학을 강 조했다. 이는 그의 학문관이 정립되는 30대 이후 만년에 이르기까지 관 철되었다. 그는 경학연구에서도 새로운 의미 탐색을 강조하기보다는 평 이하고 명백한 경전의 본의를 실천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러므로 전래의 주석을 분석적으로 비교하거나 주자의 견해를 더욱 세밀하 게 부연하는 등의 접근보다는 성현의 경전이 가지는 무오류성, 본문에 서 얻을 수 있는 실천상의 유용한 의미, 사실해석에서의 의문점에 대한 검토, 언해의 해석에서 좀 더 본문의 의미를 정확하게 읽는 법이나 본문 자체의 의미를 좀 더 의미심장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가적인 측면에서 의 독법을 우선시 하였다. 경전과 성인에 대해서는 호교론적 입장으로 존모의 정을 보이며 공자 와 주자를 거의 동일시하여 그 무오류성을 입증하는데 치중했지만 ‘맹자 불존주’ 등의 의리문제나 舜의 결혼과 같은 예제상의 모순에 있어서는 해석을 유보하거나 텍스트의 오류를 지적하는 방법으로 우회하기도 했 다. 또한 경전의 독법에서는 강렬한 실천적 지향을 보여주었는데 공자와 제자들의 문답법이나 『대학』의 ‘명명덕’에 대한 해석에서 그 점은 특 히 두드러졌다. 명물제도 등의 훈고에 주의하고, 여러 역사문헌을 비교 검토하여 사료비평을 하거나 경전 본문의 독해에 정당한 언해 수용, 청 송장 해석에서 목민행정의 경험을 투영하는 것 등은 기존의 주자학적 독법과는 변별되는 순암 사서해석의 특징적인 측면이다. 이는 당시 학술의 문제로 俗學의 문제를 지목한 순암이 돌파하고자 한 주자학 내부의 혁신논리로 적극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산의 경 우처럼 주자학의 기본 설정을 벗어나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주자학적 해석의 문제를 돌파하는 방법 외에 주자학적 해석의 내적 혁신을 통 해서도 그 전환의 여지가 있었던 것을 순암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바로 경전의 해석과 그 실천적 맥락의 유기성과 관련된다. 순암에게는 그것이 하학의 논리와 텍스트의 진실에 대한 문헌비판 등의 진지한 추구로 대응된다고 하겠다. 아울러 사실 자체에 대한 이해에서 의 핵실한 추구와 실천을 전제로 한 경전이해의 시각도 눈여겨 볼만 한 점이다. 이런 점에서 순암의 사서해석은 주자학 내부에서의 개혁적인 시도로 적극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그런 점에서 조금 결을 달리하는 실 학의 전개라고도 할 수 있겠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순암 안정복의 학술인식과 경학관
Ⅲ. 순암 四書解釋의 특징적 국면
Ⅳ. 남는 문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함영대 Ham Young-Dae. 경상대학교 한문학과 부교수 겸 경남문화연구원 책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