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4세기 정도전의 유교입국론

원문정보

Theory of Confucian state construction of Jeong Do-jeon of the 14th Century

정성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Jeong Do-jeon's Theory of Confucian state construction during the historical transition period of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Confucian scholars were at odds with each other due to the differences in historical consciousness after the Yuhwa-do group, which developed into a homogeneous aspect of conservatism and innovation. From the realistic perspective of Jeong Do-jeon, the conditions of the late Goryeo Dynasty were so poor that it was impossible to revive the Goryeo dynasty. Jeong Do-jeon denied the legitimacy of the Goryeo dynasty and pursued the transformation of the system after he realized that fundamental prescriptions were required to eradicate social structural contradictions as the national operating system became abnormal. Jeong Do-jeon attempted to change the ideological paradigm from the Buddhist ideology, which had long been a traditional concept, to the idea of studying abroad. To this end, Jeong Do-jeon criticized the theoretical problems of Buddhist doctrines based on the Neo-Confucianism accepted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Jeong Do-jeon's Buddhist monument, which was claimed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was a kind of social ideology, starting from a sense of mission as a Confucian scholar. Jeong Do-jeon's paradigm shift toward Confucian entry was seen as an attempt to shift his ideas to studying abroad through the criticism of heresy of Buddhism and Taoism. Another characteristic that emerged during Jeong Do-jeon's Theory of Confucian state construction is the indigenousization of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through the social implementation of the Confucian norm system.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14세기 여말선초의 왕조교체기에 활동한 유학사상 가 정도전의 유교입국론을 고찰하는 데 있다. 고려 말 유학자들은 위화 도회군 이후 역사의식의 차이를 보임에 따라 보수와 혁신이라는 동원이 류적 양상으로 대립하였다. 정도전의 현실주의적 입장에서 바라보면, 고려 말의 시대 여건은 고 려조의 명맥을 부흥시킬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열악하였다. 국가 운영시 스템이 비정상화됨에 따라 사회 구조적 모순을 척결하기 위해서는 근본 적인 처방이 요청된다고 파악한 정도전은 고려조의 정통성을 부인하고 체제변혁을 추구하였다. 정도전은 오랜 전통적 관념이었던 불교 이념에서 유학 이념으로의 사 상적 패러다임을 전환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정도전은 고려 말에 수 용된 성리학을 이념적 기반으로 하여 불교 교리의 이론적 문제점들을 지적하며 비판하였다. 고려 말 조선 초기라는 시대 상황에서 주장된 정도전의 불교 비판은 유학자로서의 사명감에서 비롯된 것이라 볼 수 있으며, 사회이념론이 었다. 정도전이 유교 입국을 위해 전개한 패러다임의 전환 과정은 불 교와 도가라는 이단의 비판을 통한 유학으로의 사상적 전환을 도모한 모습이었다. 정도전의 유교 입국 과정에서 나타난 또 하나의 특성은 유교적 전장(典章) 제도의 사회적 구현을 통한 유교 정교 이념의 토착 화라고 하겠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정도전의 생애와 시대 인식
Ⅲ. 도불(道佛)에 대한 유교적 비판과 정교 이념의 전환
Ⅳ. 유교적 전장(典章) 제도의 사회적 구현
Ⅴ.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성식 Jeong, Seong-sik. 영산대학교 성심교양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