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충청도 수령과 도내 행정기관의 운영체계와 조정방식

원문정보

Study on the Operating System and Coordination Method of Local Governors in Chungcheong-do In late Joseon Dynasty

이선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traces the operation of the administrative network related to the local governor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two main questions that have driven this study were; first, whether the institutional status of the local government was followed, and second, how the local governors coordinated administrative work with each other and higher-level agencies. The subject of analysis is Garimbocho, which contains official documents written by the governor of Imcheon-gun, Chungcheong-do from 1738 to 1740. Imcheon was the area where the exclusive officer of the army or navy chief of staff stayed, making it a suitable area to examine for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agency. The answer to the first question was indeed positive. About 60 percent of the documents sent by the Imcheon-gun local governor to a provincial governor were official documents. A provincial governor acted as the chief executive agency within a given province to connect and organize Court , local governor, and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The local governor handled tasks related to other areas through a provincial governor. In this process, the difference in official rank between the local governor and a provincial governor was not significant, and they were considered in the same rank for the task. This can also be seen in cases within the same. In cases of disagreements in opinions between other administrative agencies, the local governor maintained their position to prioritize official documents, local information, and residents. They would actively use administrative documents to provide evidence to carry out their arguments. An estimation of the expiration duration of administrative documents can be made from the case between Imcheon-gun and Seokseong-hyun which lasted for about 50 years. Local governor consistently shows cases of being responsible for their residents as a governor to protect and represent them. Studying this principle of compromising should take caution as these can be limited to the instance in case studies. However, as leaders who are closest to the people, this case of successfully applying institutional and practical applications and dense operational procedures to their region reign is significant.

한국어

이 논문은 조선후기 수령이 관계한 행정관계망의 실제 운영을 추적한 것이다. 이 연구를 이끈 두 가지 질문은 첫째 지방관의 제도적 위상은 실 제로 준행되었는가, 둘째 수령은 타군현 수령을 비롯하여 상급기관과 어 떤 방식으로 행정업무를 조율하였는가 이다. 주된 자료는 충청도 임천군수가 1738년부터 1740년까지 작성한 공문서 가 필사된 가림보초이다. 분석 대상이 행정체계라는 점과 여러 군현이 함께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 기반하여 조선후기 수령의 도내 행정체계로 확장하여 논의를 전개했다. 수령을 중심으로 살핀 공문서의 흐름과 연계 절차 과정은 지방관의 제도적 위상을 그대로 담고 있었다. 병영과 전영의 상하관계, 감영과 수영의 조정절차 등이 그것이다. 수령은 관찰사를 매개 로 타군현과의 관련 업무를 처리했다. 이 과정에서 수령은 종2품에서 종6 품까지 관품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등관으로 문서가 오갔다. 소속군현의 문제를 해결할 때도 동등관으로 맞섰다. 수령은 다른 행정기관과 의견 대립이 생길 때 행정문서, 지역정보, 소속 민 우선의 원칙을 고수했다. 수령은 행정문서를 증빙자료로 적극 활용했 다. 임천군의 인접고을인 석성현과 약 50년 간 계속된 소송사건에서 행정 문서의 보관시기를 살필 수 있었다. 도내 지역정보는 지리적 정보뿐만 아 니었다. 상급기관이 타군현 수령에게 허가한 경우, 수령은 해당 제사를 직 접 인용하여 본관도 허가해 줄 것을 요청했다. 수령이 행정기관과 의견이 대립되는 사례마다 목민관으로서 소속민을 대변하고 보호하는 수령의 모습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러한 조정원칙은 사례연구에 한정되는 점에 유의하여 보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백성에 가 장 가까운 통치권자로서 수령이 이와 같은 제도적 실제 적용과 조밀한 운 영절차를 통해 지방통치를 구현했다는 사례는 유의미하다고 생각된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임천군수와 도내 행정기관별 긴밀도와 지리적 영향
Ⅲ. 수령과 도내 행정기관의 연계절차와 방식
Ⅳ. 수령과 도내 행정기관의 조정방식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선희 YI SUNHUI. 중앙대학교 다빈치교양대학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