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자(漢字)를 활용한 글쓰기에서의 발상 학습 방안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deal Learning Method in Writing Using Chinese Characters

임보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arted from the consciousness that the whole process of writing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field is being delivered with concentration in writing and completion, and was studied from the perception that pre-writing phase is very important with writing and modifying. Until now, studies on ideas have been conducted mainly in the fields of art and marketing, and studies on writing ideas have been insufficient. Defining the concept of ideas in writing, the survey confirmed that students had difficulty in setting up and coming up with ideas before they began writing, and that the most important and difficult step in writing was the idea, the idea-creating part. Accordingly, the need for learning related to ideas was described during the lecture. As a way of learning for ideas, first of all, it is to engage in activities related to children’s Chinese poems(童蒙詩). This is because children’s poems show a freer and more open-minded view than adults’ poems. Through the contents of the poem, it is possible to associate with what objects are expressed. Second, freely select from the words of everyday subject matter and change them into Chinese characters(漢字語) while maintaining the meaning. Through rewriting in Chinese characters, creative ideas can be exercised and even reasons for one’s view of the word are possible. The above proposed methods are basically activities that can be of interest, and activities that students can try and proceed without any burden. It is an activity that can actively immerse oneself in coming up with ideas, and continuing discussions by groups with the results of the activities will lead to the selection and composition of the topic of the article. Nevertheless, the question still remains, when this leads to actual writing and leads to the completion of the writing, is what results have come out. The idea itself is important, but how the idea in writing will embody it as a topic, and the meaning will become clearer only when it leads to the process of writing. However, in this paper, the method of activities of ideas did not go as far as to show the results of the finished writing. This study focused on the lack of active “ideas” in writing education, and was actually suggesting activities to warm up with students at the lecture site. By actively engaging in pre-writing activities in the classroom, I hope that it will be a way to develop the power to start writing, lower barriers to writing, and get familiar with it. Based on this study, the latter is pledged as to how these ideas of activities were expressed in the completion of actual writing.

한국어

이 논문은 대학 글쓰기 교육 현장에서 글쓰기의 전체 과정 중에서 글을 써서 완성하는 데에 집중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집필하기와 수정하기와 함께 쓰기 전 단계가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연구되었다. 그 동안 발상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미술 및 마케팅 분야에서 진행되어 왔으 며, 글쓰기 발상 관련 연구들은 미흡한 편이다. 글쓰기에서의 발상의 개념에 대해 정의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은 쓰기를 시작하기 전에 글감을 정 하고 아이디어를 떠올릴 때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글쓰기에 서 가장 중요하고 어렵다고 느끼는 단계가 발상, 즉 아이디어 생성하기 부 분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강의 중에 발상과 관련된 학습이 필요함에 대해 서술하였다. 발상을 위한 학습 방안으로는 첫째, 아동 한시를 통해서 연상 활동을 하 는 것이다. 아이들이 쓴 시는, 어른들이 쓴 시보다 자유롭고 열린 시각을 보 여주기 때문이다. 시의 내용을 통해서 어떤 사물을 표현하고 있는지 연상 활동이 가능하다. 둘째, 일상 소재의 단어 중에 자유롭게 선택하여, 의미를 유지한 채 한자어로 바꾸어보는 것이다. 한자어로 새롭게 다시 쓰기를 통하 여,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휘할 수도 있으며, 그 단어를 바라보는 자신의 관 점에 대한 사유까지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제안한 방법들은 기본적으로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활동이 며, 학생들이 부담 없이 시도하고 진행할 수 있는 활동이다. 아이디어를 떠 올리는 데 적극적으로 몰입할 수 있는 활동이면서, 활동의 결과물을 가지고 그룹별로 토의를 이어나가면 글의 주제 선정 및 구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남은 문제는, 이것이 실제 글쓰기로 어 떻게 이어지는가에 대한 부분과 글의 완성으로까지 연결되었을 때, 어떠한 결과물이 나왔는가에 대한 부분이다. 발상 자체도 중요하지만, 글쓰기에서 발상이란, 이것이 주제로 구체화될 수 있어야 하며, 글을 쓰는 과정으로 이 어져야 의미가 더욱 선명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발상의 활동 방안이 완성된 글의 결과물까지 보여주 는 데까지는 나아가지 못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글쓰기 교육에서 ‘발상(아 이디어 생성하기)’이 적극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측면에 주목하여, 실제로 강의 현장에서 학생들과 함께 워밍업을 할 수 있는 활동을 제안하는 데 있었기 때문이다. 강의실 내에서 쓰기 전 활동을 적극적으로 해봄으로써 글쓰기를 시작할 수 있는 힘을 기르며, 글쓰기에 대한 장벽을 낮추고, 친숙하게 다가 갈 수 있는 방안이 되길 바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이와 같은 발상 의 활동 방안이 실제 글쓰기의 완성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에 대해서는 후고를 기약한다.

목차

국문 요약
1. 서론
2. 글쓰기 교육에서의 발상의 개념과 필요성
3. 한자(漢字)를 활용한 발상 학습 방안
1) 동몽시(童蒙詩)를 활용한 연상 활동
2) 한자(漢字)를 활용하여 다시 쓰기
4. 결론을 대신하여 : 남은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보연 Lim Boyoun.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