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온라인 대면과 LMS 비대면 인문학 토론의 수업 방식 및 학습자 인식 연구 — K대학교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and Learner’s Perception of Online Face-to-Face and LMS Non-face-to-Face Humanities Discussion —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class

우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aims to explore learner awareness through online discussion classes analyzing masterpieces texts conducted by K University in 2020 and to explore the right ways of online discussion classes based on them.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online discussion using Google Meat and non-face-to-face discussion using LMS, and considered ways to improve online discuss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A total of 52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on four scales, including online platform satisfacti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learners’ online discussi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online discussion culture needs. In this study,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was charted to confirm the details, and the interviews of 15 helpers who served as intermediaries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and assisted the discussion were added to the qualitative analysis of narrative responses. In particular, it was noted that the LMS non-face-to-face discussions could give a quick, at-a-glance view of the entire group, modify and supplement their views, and present them in a complete manner. In terms of the diversity of online discussions, it is effective to combine online face-to-face discussions with LMS non-face-to-face discussions.

한국어

이 연구는 2020년 K대학교에서 실시한 명작 텍스트를 분석하는 온라인 토론 수업을 통해 학습자 인식을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올바른 온라인 토 론 수업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구글 미트를 활용한 온라인 대면 토론과 LMS를 활용한 비대면 토론의 차이를 분석하고 심층 인터뷰를 통해 온라인 토론의 개선 방안을 고찰했다. 연구에서는 온라인 토론 강의를 위한 준비→실시→완료의 3단계를 제시 하면서 각 과정에 필요한 사항들을 중점적으로 고찰했다. 이 과정에서 학습 자 스스로 토론 능력을 평가하여 조를 설정하고 택사노미 방식의 텍스트 분 석 활동지를 실행하며 토론을 보조할 도우미를 자원하는 등 자기 주도적인 수업 참여 방법을 제안했다. 총 52명이 참여한 설문은 온라인 플랫폼 만족도, 커뮤니케이션 자기 효능 감, 학습자의 온라인 토론 만족도, 지속적인 온라인 토론 문화 욕구 파악 등 4가지 척도로 진행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학습자는 온라인 토론이 문제해 결에 있어서 집단 지성을 형성하고 도우미 및 학습자 간의 능동적 시너지 효과가 적극적 참여의 계기로 작용함을 인식했다. 아울러 연구에서는 LMS 비대면 토론이 온라인 대면 토론의 단점을 보완하므로 온라인 토론의 다양 성 측면에서 병행하면 효과적임을 확인했다.

목차

국문 요약
1. 서론
2. 온라인 토론 수업의 전제
1) 온라인 수업과 토론 연구
2) 온라인 토론 수업의 연구 대상
3. 연구 방법 및 내용
1) 온라인 토론 수업 준비
2) 온라인 토론 수업 과정
3) 온라인 토론 후 수업 관리
4. 데이터 심층 분석
1) 설문 결과 분석
2) 심층 인터뷰 결과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우현주 Woo Hyunju. 경기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