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and Variations of Baek Seok’s Poem — Targeting contemporary Korean poetry in the 2010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firm the intertextuality between Baek Seok’s poems and modern poems since the 2010s.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intertextuality is not merely to confirm the similarity between the text and the text, but some potential cultural styles alive in the cultural discourse space formed between the texts with a temporal difference and how it is activated in the 2010s. It provides the possibility to see if it has been changed. The legacy of Baek Seok’s poems related to the sentence structure of complex sentences, diaspora sense, and locality is still heh. In addition, the poems of poets who were analyzed to have already been influenced by Baek Seok also reveal what kinds of influences are being continuously exerted.
한국어
이 논문은 백석의 시와 2010년대 이후 한국 현대시 사이의 상호텍스트성 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상호텍스트성을 확인하는 과정은 단순 히 텍스트와 텍스트 사이의 유사성을 확인하는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 사이에 시간적 차이를 두고 형성된 문화적 기억 속에 어떤 잠재적 문화양식들이 활성화되는지 또는 어떤 새로운 문화적 요소가 더해졌는지를 알아볼 수 있는 시선을 제공한다. 그를 통해 백석의 시를 매개로 어떤 문화 적 기억이 창조적으로 반복되고 있는지, 또 2010년대의 어떤 문화적 특질이 문화적 기억을 더하는 작업에 작동하는지를 살필 수 있었다. 백석 시의 특질 중 하나인 엮음이라는 형식은 복문의 문장 구조로 변주되어 이어지고 있었다. 또한 백석의 시가 보여 주었던 디아스포라적 감각은 새로운 문화적 환경과 더불어 미묘한 변화를 보여 준다. 2010년대에는 디아 스포라적 주체의 입장에서 쓰인 시가 아니라 디아스포라적 삶을 사는 인물 들을 관찰하는 시점에서 쓰인 시들이 발견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백석 의 시와 관련한 로컬리티라는 요소도 2010년대 작품에서는 변화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변모는 반드시 긍정적인 것은 아니다. 지방성 에 대한 탐구의 부재나 지방성 자체에 대한 무관심은 우리 시의 열린 지평 을 평균화된 언어의 공간으로 협소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고민할 필요 가 있다. 그런 점에서 지역성이라는 과제는 앞으로 우리 시사에 던져진 중 요한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짧은 시의 형태로 날카로운 이미지즘을 구사하는 백석의 시편들 역시 여 전히 우리 시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민중의 구체적 생활상과 정처 없는 내면의 드라마를 동시에 펼쳐내는 백석의 여행시편이 지닌 특징 또한 후배 시인들을 통해 창조적으로 계승되는 중이다. 또한 2010년대에도 백석 의 시가 그려내는 특별한 공동체의 모습과 여성상 또한 막강한 영향력을 행 사하며 우리 시사에 주요한 이미지로 자리한다는 사실을 몇몇 구체적 작품 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1. 영향 관계 또는 상호텍스트성
2. ‘엮음’ 형식의 계승과 변주
3. 디아스포라적 감각의 변화
4. 로컬리티(Locality)의 시화
5. 지속되는 영향 관계들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