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춤 아카이브 이론의 실천으로서 춤 전시 : 뉴욕현대미술관의 <Judson Dance Theater : The Work Is Never Done>과 서울시립미술관의 <안은미래>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Dance Exhibition as Dance Archival Theory into Practice : Focusing on Judson Dance Theater : The Work Is Never Done by MoMA and Known Future by SeMA

최윤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ine dance exhibitions as a way of putting the dance archival theory into practice. For this, I explore performance theories which are relevant to a dance archive and look into two dance exhibitions, Judson Dance Theater: The Work Is Never Done by MoMA and Known Future by SeMA, which reflect the new performance archival theories. These exhibitions have three features. First, the present is one of vital matters in the exhibition. Second, tangible and intangible archive are acceptable. Third, visitor’s action is a part of exhibition. These features show a dance exhibition can be a way of putting the dance archival theory into practice. In addition, these two exhibitions show that a dance exhibition is an effective way to hand down a valuable dance to next generation, because less time and space constraints than a performance can make more people have diverse experience about dance. I suggest that a dance exhibition is a good way of putting dance archival theory into practice.

한국어

본 연구는 공연의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춤 아카이브 이론의 실천으로서 춤 전시가 알맞은 방법임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춤 아카이브에도 적용되는 공연예술 아카이브의 이론적 논의들을 살펴보고, 전시 <저드슨 댄스 씨어터: 작업은 계속 된다(Judson Dance Theater: The Work Is Never Done)>(2018년 09월 16일 ~ 2019년 02월 03일, 뉴욕현대미술관)과 전시 <안은미래 (Known Future)>(2019년 06월 26일 ~ 2019년 09월 29일, 서울시립미술관)가 이러한 논의들을 반영하고 있음 에 주목하였다. 두 전시는 기록들이 지시하는 과거의 구체적 시간에 얽매이지 않고, 하나의 서사 구축을 지양하며, 아카이브를 현재화하는 방법으로 각각 과거와 현재의 지향점을 갖는 아카이브와 춤을 공존하게 한다. 또한 공연을 해왔던 안무가와 무용수들의 몸, 그들의 경험과 기억을 중요하게 다루면서, 춤 아카이브의 유⋅무형 형태를 모두 인정한다. 마지막으로 관람객들의 움직임과 행위가 전시 완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공연의 요소인 관객의 중요함을 반영함과 동시에, 관람객에게는 현장에서 발생한 행위와 경험을 다시 불러일으키는 방식의 전달을 꾀한다. 이처럼 시간적으로 현재를 지향하고, 아카이브의 유 ⋅무형 형태를 모두 인정하며, 행위와 경험이라는 공연의 본질을 다시 불러일으키는 장(場)으로서의 두 전시는 공연의 본질을 반영한 새로운 아카이브 이론의 실천 형태로서 춤 전시가 알맞은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새로운 춤 아카이브 이론이 실천으로 진행되는 시점에서, 두 전시의 사례는 춤 아카이브의 실천 논의 를 확장하는 좋은 계기이다. 그리고 공연보다 시간적․공간적 제약이 적어, 보다 많은 관람객들에게 보다 다양한 경험을 하게하는 춤 전시의 사례는 춤을 다음 세대로 전달하는 효과적인 실천 방법으로서 춤 전시를 긍정하게 한다. 춤 전시를 통해 춤 아카이브가 관람객들과 직접 만나고, ‘또 다른 경험’을 일으키는 가치로 확장될 가능성을 보이는 것은 우리가 전시 형태를 보다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할 이유라 하겠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춤 아카이브의 특수성
Ⅲ. 춤 아카이브의 관점에서 본 춤 전시
1. 동시대 춤 전시의 고찰
2. 춤 아카이브 이론의 실천으로서 춤 전시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윤영 Choi, Yunyoung. 충남대학교 무용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