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립국악원 가피아스 컬렉션의 춤 영상자료 분석을 통한 1960년대 한국춤 존재 양상

원문정보

Landscape of Korean Dance in the 1960s through Analysis of Dance Video from Garfias Collection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김연정, 최해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ttempted to clarify trends of Korean dances during the 1960s by analyzing dance video data from the National Gugak Center’s Garfias Collection. The Garfias Collection is an archive of Korean performing arts that was donated by American music anthropologist Robert Garfias in 2019. In 1966, Garfias stayed in Korea for several months and recorded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rough photographs and videos. In this collection, there are 14 video clips of Korean dances of the 1960s,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sections: court dance, Buddhist dance, and folk dance. Various literature surveys and expert interview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and activity status of the performers at the time, as well as the costumes, dance movements and the composition patterns of each dance. In the case of court dance, they were performed before systematic restoration based on literature had been carried out, and it was found that the progress was faster and contained more creative elements than the current one. In Buddhist dance, it has proceeded almost identically to what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but it can be said that the pace of progression is faster and the individuality of the dancer stands out. Finally, in folk dance,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gain a new perspective on the formation of traditional dance since the video showed a very different aspect from the dance that is currently being transmitted.

한국어

본 논문은 국립국악원 가피아스 컬렉션의 춤 영상자료를 분석하여 1960년대 한국춤의 존재 양상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1966년 5월에 한국을 방문한 미국 음악인류학자 로버트 가피아스(Robert Garfias) 는 수개월간 체류하며 당시 한국의 전통공연예술을 사진 및 영상으로 기록하였다. 가피아스 컬렉션은 국립국악원이 2019년에 가피아스로부터 기증받은 1966년의 기록자료들로 구축되었다. 이 컬렉션에는 전통춤을 기록한 영상자료 14점을 포함하여 궁중악, 제례악, 정악, 민속악, 연희 등의 자료가 있다. 국립국악원으로부터 가피어스 컬렉션의 춤영상에 대한 ‘문헌해제’를 의뢰받았던 이 논문의 교신저자 는 제1 저자를 연구보조로 하여 문헌 조사 및 전문가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당시 연행자의 활동 배경과 활동 상황을 조사하였고, 영상분석을 통해 각 종목의 복식, 춤의 동작과 구성 양상을 연구 하였다. 가피아스 컬렉션의 춤 영상자료는 궁중무용과 불교무용, 그리고 민속무용 세 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궁중무용의 경우 1960년대는 체계적인 복원이 이루어지기 전의 것으로 현재 전승되고 있는 것보 다 진행속도가 빠르며 창작적인 요소를 볼 수 있다. 불교무용의 경우는 지금 연행되고 있는 것과 거의 유사하게 진행되나 이 역시 진행속도가 빠르고 춤추는 이의 개성이 돋보인다. 민속무용의 경우는 현행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전통춤과 매우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어 전통춤의 정립 과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가져다준다. 가피아스 컬렉션은 작고한 춤 명인들의 1960년대 실연을 확인할 수 있으며, 1960 년대 춤문화의 통찰이 가능하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국립국악원의 가피아스 컬렉션 구축 배경
Ⅲ. 가피아스 컬렉션의 춤 영상자료 분석
1. 춤 영상자료 목록
2. 춤 영상자료 개요
Ⅳ. 1960년대 한국춤 존재 양상
1. 출연진
2. 복식
3. 춤의 동작과 구성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연정 Kim, Yeonjeong. 한예종 전통원 겸임교수
  • 최해리 Choi, Haeree. 한국춤문화자료원 이사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