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ORIGINAL ARTICLE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대학생들의 외계행성 개념 변화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nceptual Changes of Extra-solar Planet in University Students Using Text-Mining Techniques

한신, 김용기, 김형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ception of an extra-solar plane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To conduct this, we developed an extra-solar planet education program and questionnaires which help to figure out chang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n applied them to the targeted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conception of an extra-solar planet, participants understood it merely as a planet outside the solar system before they got training. However, they expanded it to the one revolving around a star that appears outside the solar system based on keywords after the training. Second, they gave brief responses regarding exploration strategies (e.g., observing the extra-solar planet by using the Doppler effect, dietary phenomenon, and gravitational lens) based on indirect experiences they encountered in the media. The responses indicated their lack of concept of the extra-solar planet exploration methods. However, their recognition of the extra-solar planet observation became concrete while students learned about the exploration of the extra-solar planet. Third, they were expanding the importance of the exoplanet observation simply beyond the discovery of extraterrestrial life to the creative process and research methods, including the solar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humanity. Fourth, they recognized that exoplanet education is necessary for curriculum as it will be able to bring about students' interest and curiosity as well as scientific knowledge if contents related to the extra-solar planet appear in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외계행성 에 대한 개념을 빅데이터 분석을 하기 위해 외계행성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을 받기 전, 후의 개념 변화를 알 아보기 위한 질문지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을 받기 전에는 외 계행성을 단순히 ‘태양계 바깥(외계)의 행성’ 정도의 맥락으로만 이해하고 있었으나, 교육을 받은 후에 중요 키워드 중심으로 ‘태양계 바깥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둘째, 대학생들은 매스컴 에서 접했던 간접 경험을 토대로 도플러효과, 식현상, 중력렌즈를 활용한 관측한다는 정도의 간단한 답변을 하여 관측 방법에 대한 개념이 매우 부족하였다. 그러 나 학생들은 외계행성 탐사와 관련된 내용을 교육 받 으면서 외계행성 탐사에 대한 인식이 구체화되었다. 셋 째, 대학생들은 외계행성 탐사의 중요성을 단순히 외계 생명체의 발견을 넘어서서 태양계를 비롯한 행성의 생 성과정과 연구 방법, 인류의 발전으로 확장시키고 있었 다. 넷째, 대학생들은 외계행성과 관련된 내용을 지구 과학 교육과정에서 소개한다면 과학지식 뿐만 아니라 흥미와 호기심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교육과정에서 외 계행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설계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외계행성에 대한 개념 변화 분석 결과
2. 탐사방법에 대한 개념 변화
3. 외계행성 탐사 중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
4. 외계행성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Ⅳ. 결론 및 제언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한신 Shin Han. 고려대학교 겸임교수
  • 김용기 Yong-Ki Kim. 충북대학교 교수
  • 김형범 Hyoungbum Kim. 충북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