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로-목표 리더십 스타일과 직무 번영감과의 관계에서 분배 및 절차 공정성의 매개 효과 : 성취지향적, 참여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Mediating Effect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e Just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h-Goal Leadership Style and Thriving at Work : Focusing on Achievement-Oriented Leadership and Participative Leadership

윤소겸, 유상옥, 이윤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h-goal leadership styles and thriving at work, based on the path-goal theory. To achieve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f members of a large manufacturing company, and 221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achievement-oriented and participative leadership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both vitality and learning but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organizational justice. Specifically, distributive justi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leadership and vitality, and procedural justice on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related to the role of leadership,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 research on the different mechanisms of the predictors of thriving at work.

한국어

본 연구는 경로-목표 이론(path-goal theory)을 바탕으로 경로-목표 리더십 스타일 중 성취지향적(achievement oriented) 리더십과 참여적(participative) 리더십이 직무 번영감과의 관계에서 분배 공정성(distributive justice)과 절차 공정성(procedural justice)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제조 기 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21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구조 방정 식을 통해서 가설을 검증한 결과 첫째, 성취지향적 리더십과 참여적 리더십은 활력과 학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성취지향적 리더십과 참여적 리더십이 직무 번영감과의 관계에서 조직 공정성을 통한 간접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 다. 구체적으로 분배 공정성은 성취지향적 리더십과 활력, 참여적 리더십과 활력 간 관계를 매개했으나, 학습과의 관계는 매개하지 않았고, 절차 공정성은 참여적 리더십 과 학습의 관계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ᆞ, 실용적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1. 경로-목표 이론(path-goal theory)과 경로-목표 리더십스타일
2. 분배 및 절차 공정성
3. 직무 번영감
4.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
Ⅲ. 연구 방법
1. 연구 모형
2. 자료수집 및 연구 대상자
3. 측정 도구의 구성 및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상관관계, 신뢰도 분석 결과
2.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소겸 So-Kyum Yoon.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박사수료
  • 유상옥 Sangok Yoo. 노스웨스트 미주리 주립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이윤수 Yunsoo Lee.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