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판례평석

후보자 토론회의 발언에 대한 허위사실공표죄 검토 - 대상판결: 대법원 2020. 7. 16. 선고 2019도13328 판결 -

원문정보

A Review of the charges of publicizing false facts about the remarks made at the candidate's debate

김현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stipulates that those who make public false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election shall be criminally punished by the Article 250 Clause 1. If false information spreads during the election process, which is the act of electing representative institutions, it may distort the people's will and undermine the nature of the representative system by hindering voters' right choice. And the aim is to ensure fairness in elections. In the debate, however, candidates will be able to promote their policies and morality and highlight their differentiation from other candidates. Voters can help identify candidates' political ideologies, election issues, and other issues, and compare and evaluate a number of candidates to vote. However, the debate on candidates has the characteristic of improvising and continuing disputes over candidates' arguments, counterargument, questions and answers within a limited time fram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judge whether or not to disclose false information because the contents of the speech are unclear compared to the speech. In order to ensure the freedom of election campaigns, the ruling is left behind through competition and post-verification in the debate process, even if there are some false expressions in the forum's answers, and it is desirable for voters to make a final judgment. If the election results depend on the judicial judgment of the prosecution and the court, the ideology of democracy may be undermined. The remarks of the forum cannot be evaluated as an act of circulating false information Based on the judgment of the subject, the review will examine the distinction between facts and opinions, the falsity of remarks, the inclusion of public announcements, and the limitations of constitutional legal interpretation and the alternative method of resolving the issue through the judgment of unconstitutional law.

한국어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1항은 당선 목적으로 허위의 사실을 공표한 자 를 형사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대의기관을 선출하는 행위인 선거과정에서 허위사실이 전파될 경우 유권자의 올바른 선택을 방해하여 민의가 왜곡됨으로써 대의제의 본질이 훼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선거 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후보자 토론회에서 후보자는 자신의 정책, 도덕성 등을 홍보하고 다른 후보자와 차별성을 부 각할 수 있게 되며, 유권자는 후보자의 정치이념, 선거쟁점 등을 파악하 고 다수의 후보자들을 비교평가하여 투표할 수 있게 도와준다. 한편 후보 자 토론회는 제한된 시간 내에서 후보자들의 주장과 반론, 질문과 대답에 의한 공방이 즉흥적・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어 연설 등에 비해 발언내용이 불명확하여 허위사실 공표여부를 판단하기가 어려운 것도 사 실이다. 대상판결은 선거운동의 자유 보장을 위해 토론회의 답변에서 일부 허 위의 표현이 있다고 하더라도 토론과정에서의 경쟁과 사후검증을 통해 도태되며 유권자가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거결과가 검 찰과 법원의 사법적 판단에 좌우된다면 민주주의 이념이 훼손될 수도 있 다는 점에서 토론회의 발언에 대해서는 허위사실 공표행위로 평가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평석에서는 대상판결을 토대로 사실과 의견표명의 구별, 발언의 허 위성, 공표에의 포섭문제 등을 검토하고 합헌적 법률해석의 한계 및 위헌 법률심판을 통한 다른 해결방법에 대해서도 살펴보기로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사실관계의 요약
Ⅱ. 하급심의 판단
1. 제1심 판결의 요지
2. 항소심 판결의 요지
Ⅲ. 대법원 판결의 요지
Ⅳ. 평석 대상의 쟁점
Ⅴ. 대법원 판결에 대한 검토
1. 사실 주장인지 여부
2. 허위 여부
3. 공표인지 여부
4. 허위사실에 대한 고의
5. 합헌적 법률해석의 한계
6. 공직선거법 제250조 비판론에 관하여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재 Kim, Hyun Jai.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조교수, 변호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