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스크래치 활용 데이터 시각화 교육이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 of Data Visualization Education using Scratch on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김정아, 김용민, 김종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a scratch focused on data visualization was applied to 26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o analyze the effect on improvement of crea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eeds analysis conducted on 60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program using scratches according to the data visualization procedure was developed. With th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26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were taught for 42 hours for a total of 4 months.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ir creativity was improved, a creativity test was conduct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applied program was analyzed through a pre/post comparison tes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oftware education using scratch-oriented data visualization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fluency, sophistication, creativity average, and creativity index among the sub-elements of their creativity.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시각화 교육에 초점을 맞춘 스크래치를 초등학교 예비교사 26명에게 적용하여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현직 초등교사 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 시각화의 절차에 따른 스크래치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예비교사 26명에게 총 4개월 동안 42시간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창의성 증진을 살펴보기 위해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여 사 전·사후 비교 검사를 통해 적용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 데이터 시각화 교육 중심 스크래치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은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창의성 하위요소 중 유 창성, 정교성, 창의성 평균, 창의성 지수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데이터 시각화
2.2. 창의성
2.3. 스크래치
2.4. 데이터 시각화와 스크래치의 관계
2.5. 선행 연구 분석
2.6. 요구분석
3. 스크래치 활용 데이터 시각화 교육
3.1 교육 방향
3.2 교육 내용
3.3. 교육 방법
4. 적용 결과 및 분석
4.1. 창의성 정규성 검정
4.2. 사전ㆍ사후 검사 집단 내 창의성 비교
4.3. 연구 결과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정아 Jungah Kim. 제주대학교
  • 김용민 Yongmin Kim. 제주시교육지원청
  • 김종훈 Jonghoon Kim. 제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