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프랑스 선교사제의 서한을 통해 본 기해교옥과 조선대목구의 실상 - 모방 신부·샤스탕 신부·앵베르 주교의 서한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1839 persecution and Catholic Church of Joseon in the letters of French missionaries

이석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letters written by Bishop Imbert, Father Maubant, and Father Chastan are invaluable data that show the cause and turn of events of the 1839 persecution. The “Persecution Report,” written by Bishop Imbert and Father Maubant, in particular, provides a vivid account of the incidents in 1839. While the Catholic Church's religious influence in Joseon increased in the late 1830s, some of the believers became apostates, and the pojol, the police officers, continued to plunder and arrest christians. Catholics were continuously arrested in areas near Seoul and in rural areas in 1838 when the country was struck by famine. The missionaries were hopeful that the Joseon government, which was led by the Andong Kim Clan, would not spread the persecution, but at the same time, were concerned of a large-scale arrest. According to the Persecution Report drafted by Bishop Imbert and Father Maubant, the arrests of Catholics, which was sporadic in 1838 and early 1839, turned into full-blown persecution after the incident on April 7, 1839. The existence of European missionaries was uncovered, and as the public opinion against Catholicism rose, the Pungyang Jo Clan, which was hostile to Catholicism, came to power. The order to eradicate Catholicism was issued on April 18, which led to the official beginning of the Catholic persecution. The Joseon government focused on apostasy rather than execution by means of torture and placation. Some of the apostates took the lead in arresting the christians and the missionaries. The number of martyrs and apostates rose as the persecution worsened. Bishop Imbert, who had sought refuge, agreed with some of the Catholics who believed that the missionaries should take action and decided to become a martyr to allow the other priests to escape the country. Fathers Maubant and Chastan, however, pointed out the danger of the Bishop’s plan and decided to stay in Joseon. Caught in a situation where he cannot escape anymore, Bishop Imbert surrendered and was arrested, and decided that the sacrifice of the other missionaries was needed to stop the persecution. Following the Bishop’s orders, Fathers Maubant and Chastan gave themselves up and were arrested, and the martyrdom of the three missionaries put the 1839 persecution to an end.

한국어

앵베르 주교, 모방 신부, 샤스탕 신부가 남긴 서한들은 선교사제의 시각 에서 1839년(기해) 교옥(敎獄)의 원인, 경과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앵베르 주교와 모방 신부가 작성한 ‘박해 보고서’는 1839 년 교옥 당시의 생생한 현장을 전해주고 있다. 1830년대 후반 선교사제의 노력과 신자들의 열성에 의해 조선천주교 의 교세는 확장되었지만, 그 이면에는 신자들 사이에 배교자들도 존재했 고 포졸들의 약탈과 체포가 이어졌다. 기근이 들었던 1838년에는 신자 체 포 사건들이 서울 인근과 지방에서 연이어 나타났는데, 선교사제 사이에는 안동 김씨가 주도하는 조선 정부가 박해를 확산시키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와 대규모 박해가 일어날 수 있다는 불안이 교차하고 있었다. 앵베르 주교와 모방 신부의 보고서에 의하면, 1838년과 1839년 초에 산발적으로 발생했던 신자 체포 사건이 1839년 4월 7일 사건을 계기로 본 격적인 천주교 교옥으로 비화되었다. 서양인 선교사제의 존재가 탄로나고 척사여론이 거세지면서 천주교에 적대적인 풍양 조씨 세력이 정국의 주도 권을 잡았다. 4월 18일 사학토치령(邪學討治令)이 반포되고 공식적인 옥 사로 전환되었다. 조선 정부는 처형보다는 배교를 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고문과 회유 방 법을 동원했다. ‘유다스’라 불리는 일부 배교자들은 다른 신자들이나 선교 사제의 체포에 앞장섰다. 박해가 치열할수록 신앙을 지킨 순교자가 늘어 났고 그와 함께 배교자도 늘어났다. 피신 중이던 조선대목구장 앵베르 주교는 선교사제들이 나서야 한다 는 일부 신자들의 생각에 동의하면서 자신은 순교하는 대신 다른 동료 사 제들을 해외로 탈출시키려 했다. 그러나 모방·샤스탕 신부는 그 계획의 위 험성을 지적하고 계속 조선에 남기로 했다. 더 이상 피신할 수 없는 상황에 서 앵베르 주교는 스스로 나가 붙잡혔고, 박해를 중단시키기 위해서는 다 른 선교사제의 희생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러한 주교의 지시에 순종 한 모방·샤스탕 신부는 스스로 나가 잡혔고, 결국 세 선교사제의 순교를 계기로 1839년의 교옥은 가라앉게 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선교사제들의 활동과 교옥의 조짐
Ⅲ. ‘기해교옥’의 발발
Ⅳ. 교옥의 확산과 신자들의 실상
Ⅴ. 선교사제들의 순교와 교옥의 종식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석원 Lee, Seok-won. 수원교회사연구소 연구실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