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한국 근대 계몽기 소설 「몽견제석(夢見帝釋)」에 나타난 도교적 화소의 양상과 의미

원문정보

Aspects of the Meaning of Taoist Elements in “Monggyunjesuk”(夢見帝釋) in the Korean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문려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Taoist elements in the Korean enlightenment novel "Monggyunjesuk". "Monggyunjesuk" was recently discovered, and has so far only been studied by Kim Soo-yeon. In this paper, I mainly analyzed the Taoist elements including supernatural beings, fairylands and the Taoist literature of the text. Among them, Taoist supernatural beings Wo quan and Ahn Ki-saeng are herbalists who cure diseases, and the Taoist fairylands such as Shizhou, Kunlun Mountains, and Penglai Mountain are peaceful and free alternative worlds. These Taoist elements demonstrate the immortality of Taoism and orientation toward an ideal and stable world. In this sense, they show the consolation for the times through the fate of intellectuals less fortunate in reality by borrowing supernatural images from Taoist poet Li He’s White Jade and also reflects the quest for seeking harmony between humans and nature by borrowing Tao Yuanming’s Kuei-Chu-Lai-Tzu. The Taoism of "Monggyunjesuk", a Mongyurok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reveals the cracks in Zhu Xi‘s Neo-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ituation in which intellectuals embraced Taoism as a new ideology. "Monggyunjesuk" reflected the intellectuals suggestions of solutions for the real society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their concerns for the future through Taoism.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한국 근대 계몽기 소설 「몽견제석(夢見帝釋)」에 나타난 도교적 화소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몽견제석」은 최근에 발 굴된 신자료로, 김수연의 연구가 유일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 작품의 도교 적 화소에 집중하여, 도교의 인물화소인 신선과 공간화소인 선경, 그리고 도교 문학적 화소를 고찰했다. 도교 인물을 대표하는 악전과 안기생은 채 약사로서 치병과 관련되며, 도교적 공간인 십주, 곤륜산, 봉래 등 선경은 신선 세계이자 평화롭고 자유로운 대안세계이다. 도교 문학을 대표하는 이하와 「백옥루」 고사는 초현실적인 상상력으로 현실에서 불우한 지식인 들의 운명을 통해 당시 시대상황에 대한 위로를 보여주었으며, 도연명의 「귀거래사」를 차용함으로써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추구하는 사상과 평화로 나아갈 길에 대한 모색을 보여 주었다. 애국계몽시기 몽유록계 소 설인 「몽견제석」에서 도교적 화소와 사상 등의 차용은 조선 후기 주자성 리학의 균열과 함께 지식인들이 새로운 사상적 이념으로 도교 사상의 수 용했던 정황을 보여주었으며 조선 말기 현실 사회의 해결방안, 아울러 앞 으로 나아갈 길에 대한 고민과 지향을 보여 주었다.

목차

<국문개요>
1. 들어가며
2. 도교적 화소의 차용
2.1. 도교 인물 화소
2.2. 도교 공간 화소
2.3. 도교 문학적 화소
3. 도교적 화소의 차용 의의
4.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려화 Wen, Li-hua. 북경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학과 부교수(北京大學 外國語學院 韓國語系 副敎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