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 주제 : 인권・제도・폭력과 한국어문학 ① - 안과 밖의 타자들을 사유하다

근대 여공들의 스트라이크와 기숙사의 지정학(地政學) - 1920~30년대 공장소설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Strike of Modern Female Factory Workers and Geopolitics of Dormitory - Centering on Factory Novels in 1920s and 30s -

황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rticle will analyze factory novels created in the 1920s and 30s when women began to take up modern jobs in earnest. It would like to find out how the factory girls dormitory, which is built to control and discipline factory girls, is a stronghold of resistance, reversing its character. Furthermore, we will pay attention to the strikes made by factory girls centering on dormitories. So it will also be revealed that the factory girls of this period were not only subject to surveillance and exploitation, but were actors who actively moved to find their rights. With the modernization of the colonial Joseon, factory girls were created, and most of them lived in dormitories inside factories, which were substitutes for their homes. Discipline and violence were used in factories to tame factory girls. And the factory girls tried to change their bodies to fit the newly entered discipline space and to internalize the watchdog's eyes. But in factories and dormitories, oppression and resistance coexisted as two sides of the coin. Strikes by female workers in factory novels begin when the anger of female workers who have been constantly suppressed and exploited explodes. And the strike goes on to succeed in the activities of the vanguard and in the efforts of some female factory workers to realize the contradictions of society and find their rights by reading social books at night. Like this the dormitory built to control factory girls became a strike stronghold over time. And here women have grown up not only as personal growth but also as a chain and collective entity through the medium of determination to fight.

한국어

본고에서는 여성들이 본격적으로 근대적인 직업을 갖기 시작한 1920~30 년대에 창작된 공장소설들을 중심으로, 여공들을 통제하고 규율화하기 위 해 만든 여공 기숙사가 어떻게 그 성격을 역전시키면서 저항의 거점이 되 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기숙사를 중심으로 여공들이 만들어내 는 스트라이크에 주목하여 이 시기의 여공들이 감시와 착취의 대상이기만 했던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권리를 찾기 위해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행위자 였음도 밝힐 것이다. 식민지 조선에서도 근대화와 더불어 여공들이 등장하 였고 이들은 대부분 집의 대체재인 공장 안의 기숙사에서 생활하였다. 공 장 안에서는 여공들의 신체를 길들이기 위해 각종 규율과 폭력이 사용되었 고, 여공들은 새로 진입한 규율공간에 적합한 상태로 자신의 몸을 개조하 고 감시자의 시선을 내면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하지만 공장과 기숙사안에서 억압과 저항은 동전의 양면처럼 공존하였다. 공장소설 속에서 여공 들의 스트라이크는 지속적으로 억압과 착취를 당하던 여공들의 분노가 폭 발하면서 시작된다. 그리고 투쟁 조직과 연결되어 있는 전위들의 활약과 밤에 사회주의 서적을 읽으면서 사회의 모순을 깨닫고 자신들의 권리를 찾 기 위해 분투하는 몇몇 여공들의 노력으로 스트라이크는 성공에 이른다. 이처럼 여공들을 통제하기 위해 만든 기숙사는 시간이 지나면서 스트라이 크의 거점이 되었고, 이곳에서 여공들은 개인적 성장뿐 아니라 투쟁 의지 를 매개로 연쇄적이고 집합적인 주체로서 성장해 나갔다.

목차

<국문개요>
1. 노동계급 여성의 ‘이동’과 규율공간의 양가성
2. 저항의 거점으로서의 기숙사와 여공들의 투쟁
3. 여공들의 밤과 기숙사의 철망 넘기
4. 여공 기숙사, 죽음을 넘어선 집합적 주체의 양성소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지영 Hwang, Jiyoung. 충북대학교 국어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