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실업 롤러선수들의 근신경활성 훈련프로그램이 체력 및 경기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Nerve Activation Program on Fitness and Performance of Professional Roller Athletes

곽동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nerve activation program for 8 weeks on fitness and performance of professional roller athletes(N = 6). The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for 120 minutes twice a week for 8 weeks. The measured variables included agility, aerobic capacity, anaerobic power, isokinetic knee strength, and 200m recor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using SPSS 25.0.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In fitness agil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p < .05). In the aerobic capacity, the maximum oxygen intake per body weight (p < .01) and the anaerobic threshol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p < .01).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in anaerobic power. Isokinetic knee strength(60°/sec)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maximal flexion strength and flexion/extension ratio each another(p < .01). The 200m recor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hortened (p < .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8-week nerve activation program has the positive effects fitness and performance in roller athletes. Also, neuromuscular training will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when planning a future roller training program.

한국어

본 연구 목적은 실업팀 남자 롤러 선수 총 6명을 대상으로 8주간 근신경활성 프로그램이 체력 및 경기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훈련프로그램은 8주간 주 2회 일일 120분간 실시되었다. 효과검증을 위해 기초체력은 민첩성, 전문체력은 유산소능력, 무산소성파워, 등속성 하지근력을 측정하였고, 경기력은 200m 기록(초)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으로 사전, 사후 변화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초체력에서는 민첩성 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 < .05). 유산소능력은 체중 당 최대산소섭취량(p < .01), 무산소성 역치시점이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 < .01). 무산소성파워는 변인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등속성 하지근력은 좌, 우 최대굴 근력(60°/sec), 굴/신비율이 각각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 < .01). 200m 기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단축되었다(p < .01). 결론적으로 8주간의 근신경활성 프로그램은 민첩성, 유산소성능력, 하지근력 향상과 기록단축 효과를 나타내어 향후 롤러 종목훈련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항목 및 절차
3. 훈련프로그램
4. 자료처리
Ⅲ. 결과
1. 민첩성 변화
2. 무산소성 파워 변화
3. 유산소성 능력 변화
4. 등속성 각근력 변화
5. 경기력 변화
Ⅳ. 논의
1. 민첩성 변화
2. 무산소성파워 변화
3. 유산소성 능력 변화
4. 등속성 각근력 변화
5. 경기력 변화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곽동혁 Kwak, dong Hyuk. 전북스포츠과학센터,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