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warm-up exercise applied with clubbell training on the improvement of internal rotation limitation of the shoulder joint and functional movement test scores compared to static stretching for overhead sports athlet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 handball players, 6 tennis players, 10 badminton players, and a total of 22 players participating in overhead sports.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11 in the sleeper stretching group and 11 in the clubbell warm-up group. The range of motion and functional movement of the shoulder joint internal rotation joint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ach warm-up exercise. Two way ANOVA with repeated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warm-up exercise program, and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statistics was set to α = .05.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in the overall score of the functional movement test according to the first warm-up exercise (p = .738),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ime period (p = .000).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in the range of motion limiting the internal rotation of the shoulder joint according to warm-up exercise (p = .481),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ime period (p = .002). When the above results are summarized, the preparatory sinus applied with clubbell training can show an improvement in the range of motion similar to the existing slipper stretching to improve the limitation of internal rotation of the shoulder joint. It is judged suitable to be appli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오버헤드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클럽벨 훈련을 적용한 준비 운동이 정적 스트레칭에 비해 견관절 내회전 제한(GIRD), 기능적 움직임 평가(FMS)에 미치는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오버헤 드 스포츠에 참여 중인 선수로 핸드볼 선수 6명, 테니스 선수 6명, 배드민턴 선수 10명, 총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는 슬리퍼 스트레칭 집단 11명, 클럽벨 준비운동 집단 11명으로 무작위 배정했다. GIRD, FMS 평가를 각 준비운동 수행 전 ·후로 측정 하였다. 준비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 측정 이원 변량 분석(Two way ANOVA with repeated)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의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재 준비운동에 따른 FMS 평가의 종합 점수에서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 = .738), 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00). 둘째, 준비운동에 따른 GIRD에서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 = .481), 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02).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클럽벨 훈련을 적용한 준비운동이 견관절 내회전 제한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에 제시되던 슬리퍼 스트레칭과 비슷한 관절가동범위 개선을 나타낼 수 있으며, 동적 및 고강도 준비 운동으로 본 운동전 준비운동으로 적용되기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내용 및 절차
3. 측정 도구 및 방법
4. 운동 프로그램
5.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기능적 움직임 평가의 변화
2. 운동형태에 따른 견관절 관절 가동 범위의 변화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