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core competencies of Taekwondo instructors using delphi technique. Due to the spread of COVID 19, the survey process was selected as a non-face-to-face type email reply method, and a total of three repeated surveys were conducted from the end of June to the end of August 2020. The findings were derived from four areas and 30 core competency factors. First, the core competency factors of the professional knowledge area required by Taekwondo instructors were ‘safety management knowledge’, ‘child and youth-related psychological knowledge’, ‘knowledge education related to Taekwondo etiquette’etc. Second, the core competency factors of the leadership skills area required by Taekwondo instructors were ‘funny teaching’,‘motivating factor’, ‘coaching with praise', etc. Third, the core competency factor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rea required by Taekwondo instructors were ‘always trust’, ‘positive attitude and bright smile’, ‘responsibility’etc. Fourth, the core competency factors of educational operation area required by Taekwondo instructors were ‘building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parents’, ‘crisis management’, ‘inducing students to do their best’etc
한국어
이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태권도 사범의 핵심역량을 도출함으로써 태권도 사범에게 전문성 신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 절차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비대면 형식의 이메일 회신 방법을 선택했으 며, 2020년 6월 말부터 8월 말까지 총 3회에 걸친 반복 설문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4개 영역(전문지식, 지도기술, 개인특성, 교육운영)에서 30개의 핵심역량 요인이 되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태권도 사범에게 요구되는 전문지식 역량 군에 해당하는 핵심역량 요인은 안전관리 지식, 아동·청소년 관련 심리학 지식, 태권도 예절 관련 지식, 아동·청소년 관련 교육학 지식, 태권도 규칙 지식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사범에게 요구되는 지도기술 역량 군에 재미있게 가르치는 능력, 동기부여 능력, 칭찬을 포함하는 지도, 명확하게 설명하는 능력, 우발사항 대처 능력, 열정적이고 최선을 다해 지도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권도 사범에게 요구되는 개인특성 역량 군에 항상 신뢰성 있는 모습, 긍정적 마음가짐과 밝은 미소, 어떤 일이든 책임감 갖는 모습, 자기 조절 능력, 공동체 의식, 매사 자신감 있게 행동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권도 사범에게 요구되는 교육운영 역량 군에 학부모와 원만한 대인 관계 형성, 위기 상황 관리, 수강생들 이 최선을 다하도록 유도, 지속적인 안전교육, 교육에 관한 구체적인 목표 설정 등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문제
3. 문헌고찰
Ⅱ. 연구방법
1. 델파이 분석
2. 연구 참여자 구성
3. 연구의 절차
4. 연구의 진실성
Ⅲ. 연구결과
1.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2.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3.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Ⅳ. 논의
1. ‘전문지식’ 역량 군의 핵심역량 요인
2. ‘지도기술’ 역량 군의 핵심역량 요인
3. ‘개인특성’ 역량 군의 핵심역량 요인
4. ‘교육운영’ 역량 군의 핵심역량 요인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강경태(2018). 태권도장 안전관리 실태와 개선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운대학교 대학원.
- 2강진형, 김영주(2015). 검도 지도자의 신뢰와 수련만족이 재등록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검도학회지, 26(1), 1-12.
- 3김동원(2000). 상업스포츠센터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라이프스타일이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9(3), 789-797.
- 4김민지, 조남기, 신민혜(2018). 탁구 지도자로서 함양해야할 핵심역량에 대한 우선순위 탐색. 한국체육과학회지, 27(5), 1005-1014.
- 5스포츠 동기요인으로서의 재미 : 개념 및 관련연구네이버 원문 이동
- 6김석산(2011). 태권도 지도자의 사회적 성공요인에 따른 실제적 역량과 도장경영성과의 관계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 7김수연, 이강구(2016). 태권도 품새 선수의 지도자 신뢰와스포츠 자신감 및 품새 수행능력의 관계. 국기원 태권도 연구, 7(3), 131-147.
- 8김영길(2010). HRD 컨설턴트의 역량에 대한 인식.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 9김영숙, 이지연(2019).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독영어교사핵심역량 탐색. 신앙과 학문, 24(4), 231-265.
- 10김용철(2014). 태권도 예의론. 서울: 한국사진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