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대처전략 및 경기력 간의 구조적 관계

원문정보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Management, Sports Coping Strategy, and Performance of Taekwondo Athletes

신성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Taekwondo athletes' self-management, sports coping strategies, and athletic performance, and to contribute to basic research to understand each variable. To this end, the researcher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used in the preceding study by 15 teams among universities in Taekwondo majors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Jeonbuk, and randomly selected and extracted a sample. Analysis used the program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elf-management of college Taekwondo play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ports coping strategies. Second, the sports coping strategies of college Taekwondo play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formance. Third, the self-management of college Taekwondo play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formance in par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ports coping strategy partially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self-management and athletic performance of university Taekwondo athlet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thletes' self-management, sports coping strategies, and athletic performance, and late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deration effects and scal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suggested.

한국어

이 연구는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대처전략 및 경기력에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각 변인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연구에 기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서울과 경기, 인천, 전북에 소재한 대학교 태권도전공 중 15개 팀에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무작위로 선정하여 표본을 추출하 였고, Window SPSS 22.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는 스포츠 대처전략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스포 츠 대처전략은 경기력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는 경기력에 부분적으 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경기력 간에 스포츠 대처전략은 부분적으로 매개역할 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선수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대처전략, 경기력의 구조적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에 기여할 수 있으며, 추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와 척도 개발 연구를 제언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가설 설정의 이론적 근거
1.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대처전략의 관계
2.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스포츠 대처전략과 경기력의 관계
3.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경기력의 관계
4.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경기력의관계에서 스포츠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Ⅲ. 연구 방법
1. 연구참여자
2. 조사도구
3. 조사절차
4. 자료분석
Ⅳ. 연구 결과
1.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2. 확인적 요인분석
3. 상관관계 검증
4.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5. 가설 검증
6. 간접효과 검증
Ⅴ. 논의
1.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대처전략의 관계
2.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스포츠 대처전략과 경기력의 관계
3.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경기력의관계
4.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경기력의 관계에서 스포츠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성진 Seong-Jin Shin. 경희대학교, 대학원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