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배드민턴 브랜딩 강화를 위한 전략요소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n the Factors Strategy for Badminton Branding Strengthen

이상호, 임기태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purposed at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 of brand equity to identify strategic elements for strengthening badminton branding. The data of badminton club members were colle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s and analyzed a total of 246 players. The data analysis method used SPSS18.0 and AMOS 18.0, and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factors of sports brand equity as badminton branding.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performed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brand awareness was positively affected by brand value and marketing activities. Second, brand value was positively affected by brand personality and perceived quality. Third, marketing activities was positively affected by brand personality and perceived quality, and fourth, brand personality and perceived quality were positively affected by brand loyalty. In conclusion, the factors of brand equity have been confirmed to be capable of playing a role as a strategic factors for badminton branding strengthen.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배드민턴 브랜딩 강화를 위한 전략 요소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자료를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수집하여 총 24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스포츠 브랜드자산의 구성요 소들이 배드민턴 브랜딩 요소로서 타당성을 확인 하였다. 그리고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브랜드 인지는 브랜드 가치와 마케팅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가치는 브랜드 개성과 지각된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케팅 활동은 브랜드 개성과 지각된 품질 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넷째, 브랜드 개성과 지각된 품질은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결론적으로 브랜드자산의 구성요소들은 배드민턴 브랜딩 강화를 위한 전략적인 요소로서 역할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모형 및 가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 처리
Ⅲ. 결과
1. 확인적 요인분석
2. 연구모형 및 가설 검증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상호 Lee, Sang-Ho. 강남대학교, 부교수
  • 임기태 Yim, Ki-Tae. 대진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공유진(2015). 스타트업 기업을 위한 브랜딩 프로세스.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3), 53-65.
  • 2김민수(2018). 국내 배드민턴 산업 경쟁력 분석: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SI포커스, 40,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3김용만, 서희정(2003). 2002한․일월드컵 공식스폰서와매복자의 월드컵 소구광고가 브랜드개성과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2(6), 517-525.
  • 4나상현, 송성진, 이승철(2011). 배드민턴 용품소비자의 관여도에 따른 국가대표 스폰서십 효과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3, 411-422.
  • 5남행웅, 최덕환(2002). 스포츠소비자의 지각된 스포츠 브랜드 개성 차원과 브랜드 애호도와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1(5), 409-422.
  • 6문화체육관광부(2020). 2019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 7변경원, 노동연(2020). 스포츠용품 소비성향과 제품선택요인, 재구매의도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8(2), 509-520.
  • 8안광호, 한상만, 전성률(2003). 전략적 브랜드 관리(제2판). 서울: 학현사.
  • 9엄진종(2016). 배드민턴 동호인의 참여정도가 재미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6, 557-567.
  • 10원구현(2003). 스포츠 브랜드자산의 구성개념과 관계: 스포츠용품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8(2), 137-152.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