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홈트레이닝 온라인 개인방송 시청자의 후기수용모델이 채널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Influence of Home Training Online Private Broadcasting Viewers' Reviews Reception Model on Channel Satisfaction and Loyalty

박종임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hannel satisfaction and loyalty in the post-reception model of home training personal broadcast viewers, and focuses on the post-reception model based on the expectation-match theory of home training personal broadcast view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cause satisfaction and loyalty.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ill be a research purpose to present a variety of discussions such as home training activation strategy, the role of the operator centered on viewer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online structure, and the qualities and literacy of the host.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on those who had exercised through home training personal broadcasting for 2 months from August to October 2020, and the questionnaire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260 surveys through self-evaluation writing method.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ata processing of the result analysis used SPSS 23.0 and AMOS 23.0, and the results shown are as follows. First, the post-acceptance model of home training personal broadcasting had an effect on channel satisfaction. Second, the post-acceptance model of home training personal broadcasts had a partial influence on channel loyalty. Third, channel satisfaction affected loyalty.

한국어

본 연구는 홈트레이닝 개인방송 시청자의 후기수용모델이 채널 만족 및 충성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홈트레이 닝 개인방송 시청자의 기대-일치이론을 기반으로 한 후기수용모델을 중심으로 시청자가 선택한 서비스 이용 채널에 대 한 만족과 충성도를 일으키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홈트레이닝 활성화 전략과 시청자를 중심으로 한 운영자의 역할 및 온라인 구조의 한계점 극복, 진행자의 자질 및 소양 등 다양한 논의를 제시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겠다. 이를 위해 2020년 8월 ~ 10월 2개월 동안 홈트레이닝 개인방송을 통해 운동한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활용된 설문지는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260부의 설문을 최종분 석에 활용하였다. 결과분석의 자료처리는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였으며,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홈트레이닝 개인방송 후기수용모델은 채널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홈트레이닝 개인방송 후기수용모델은 채널 충성 도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채널 만족은 충성도에 영향을 미쳤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이론적 관계 및 가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조사 도구
3. 조사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Ⅲ. 결과
1. 상관관계 분석
2.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가설검증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종임 Park, Jong-Im. 송원대학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KB 금융지주 경영연구소(2018, 4월 18일). KB 지식 비타민: 1인 미디어로 시작하는 Meconomy의 진화. 30, pp. 1-9.
  • 2강수민(2013). 구매채널에 따른 외식소비자의 경험적 가치가 채널만족 및 채널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서울.
  • 3곡민, 김은희(2019).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28(1), 155-181.
  • 4권미선(2018). SNS의 e-서비스품질이 플로우, 관계품질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도양대학교 대학원, 경상북도.
  • 5김기병, 서원석(2020). 후기수용모델(PAM)의 확장모형을통한 온라인 여행사(OTA)의 지속이용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44(6), 141-163.
  • 6김영택, 오종철, 홍상진(2006). 개인형 커뮤니티 사이트 사용자의 후기수용모형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19(6), 2215-2235.
  • 7김욱기, 김기탁(2020). 골프 온라인 개인방송 시청자의 시청동기에 따른 의사사회 상호작용이 채널 충성도에미치는 영향. 골프연구, 14(2), 179-192.
  • 8김종훈, 이정학(2011). 스포츠전문채널 방송3사 프로야구 해설자의 공신력이 채널만족 및 채널충성도에 미치는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6(5), 17-28.
  • 9김혜영, 안보섭(2018). 온라인 1인 미디어 개인방송 BJ에대한 매력도와 신뢰성이 미디어 채널에 대한 시청몰입, 상호 작용성, 인지된 즐거움과 이용자의 반응에미치는 효과 연구. 광고연구, 118, 78-126.
  • 10노승욱(2020, 8월 3일). 코로나19에 급성장하는 '홈트'시장...집콕에 지친 확찐자들 '랜선 혼헬족' 변신.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08/792107/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