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보물 제1752호 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재질특성 및 제작기법 연구(1) : 소조불상 주요 구성재료 분석

원문정보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Clay Seated Vairocana Buddha Triad of Seonunsa Temple, Gochang

이화수, 이한형, 한규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o conserve the clay seated Vairocana Buddha triad in Seonunsa temple, Gochang (Treasure 1752), the primary materials employed for creating the clay Buddha statues were scientifically analyzed. By analyzing the soil layer constituting the Buddha statues, it is observed that the said layer comprises sand having particle size greater than that of medium sand and soil having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at of fine sand, which were used in a ratio of 7:3, along with the bast fibers of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Hence, the aforementioned soil layer is composed of a mixture of sand and weathered soil, along with bast fibers to prevent scattering. By analyzing the tree species, it is found that the wooden materials constituting the bottom board and the interior of Buddha's sleeves of the Amitabha Buddha statue, Vairocana Buddha statue, and Medicine Buddha statue are hard pines (Pinus spp.). Additionally, three layers are foun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gold layer. Furthermore, each of the hair sections of the Buddha statues is composed of earthy materials such as quartz, albite, microcline, mica, and magnetite, and the hair surface was painted by incorporating black materials containing magnetite.

한국어

보물 제1752호 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보존을 위해 불상을 구성하는 주요 재질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소조불상을 구성하는 토양층 분석결과 중립사 이상의 모래와 세립사 이하의 토양이 3:7의 비율로 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닥나무의 인피섬유도 함께 확인되었다. 따라서 소조토는 모래와 풍화토를 혼합하고 분산방지를 위해 닥지를 섬유질로 첨 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수종분석 결과, 아미타여래, 비로자나불, 약사여래의 좌대 및 팔 부위를 구성하는 목재는 모두 경송류(Hard pines)로 식별되었으며, 개금층 분석 결과, 시료 단면에서 3개의 층위가 확인되었다. 불상의 나발은 석영, 조장석, 미사장석, 운모, 자철석 등 토양성 물질 로 구성되었으며, 나발의 표면은 자철석이 함유된 흑색물질을 이용하여 표면을 채색한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분석 대상 및 내용
2.2. 소조토층 분석
2.3. 개금층 분석
2.4. 목재 수종 분석
2.5. 나발 분석
3. 분석 결과
3.1. 소조토층
3.2. 개금층
3.3. 목재 수종
3.4. 나발
4. 결론 및 고찰
REFERENCES

저자정보

  • 이화수 Hwa Soo Lee. 건국대학교 조형예술학과
  • 이한형 Han Hyoung Lee.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기술소재은행
  • 한규성 Gyu-Seong Han.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