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and Applicability of Rosin-based Epoxy Adhesives and Filling Material for Conservation of Wood Crafts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rosin-based epoxy resin and manufactured two components adhesives and epoxy putty using this epoxy resin. This study manufactured main element of adhesives for enabling it to form epoxide group by letting epichlorohydrin react to maleic anhydride modified rosin, and used room temperature curing type triethylenetetramine for hardener. The ratio between main element and hardener of of manufactured adhesives was 100 : 20, and main element and hardener of filling material were manufactured as clay type by mixing them with filler. Manufactured undiluted adhesives and filling material showed very stable result in the adhesive strength (3.06 MPa) and ultraviolet irradiation, showing outstanding result comparing to existing restoration adhesives. And it is considered a material having reversibility as it was dissolved in organic solvents such as acetone and toluene after being hardened, which showed a result that solved part of possible problems caused by restoration. As a result of use and application of manufactured adhesives and filling material for actual wood crafts, they showed excellent results in workability, stability, removability etc., an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aterial can be used for and applied to various fields.
한국어
송진을 기반으로한 2액형의 주제를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접착제와 메움제를 제조하 였다. 접착제 주제는 Maleic anhydride modified rosin에 epichlorohydrin을 반응시켜 epoxide group 이 형성되도록 제조하고 경화제는 상온 경화형 triethylenetetramine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접착제 는 주제와 경화제의 비는 100 : 20이었으며, 메움제는 Filler를 혼합하여 주제와 경화제 모두를 점토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원액 접착제와 메움제는 우수한 접착 강도(3.06 MPa)와 자외선 조사에서 매우 안정한 결과(△E * ab 3.55, △b * 3.17)를 나타내어 기존 시판 복원용 접착제들에 비하여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 경화 완료 후에 acetone과 toluene 등의 유기 용매에 용해되 어 가역성을 갖는 재료로 볼 수 있어 복원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의 일부를 해결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제조된 접착제 및 메움제를 이용해 실제 목공예품에 적용하여 작업성, 안정 성, 제거성 등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이용할 경우 다양한 분야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2.1. 시약 및 시편
2.2. 합성 방법
2.3. 물성측정
3. 결과 및 고찰
3.1. 최종 생성물
3.2. 물성
3.3. 적용성
4. 결론
사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