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및 동아시아 인문학

북한영화예술의 장르론적 연구

원문정보

A Genre Study on North Korea Film

민병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Genre Study on North Korea Film Min, Byung-wook This study says that how important film art is at North Korea Art in terms of genre position and the special character and genre system of film Art and the peculiarity of subordinate genre. The result can be summarizing as follows. 1) North Korea Film Art is on the basis of modern science technology and show us human's life through screen without space and time constraint. 2) North Korea film Art is a composite Art which is combined with a play art and music on the basis of film literature and a means which is enlighting people by reflecting on real life. 3) North Korea film Art can be classified as indicated below. ① According to Figure-Object or Figure-Means, Art film how to use skill, Art Film, Documentary Film, Science Film, Children Film. ② According to volume or size, a long film, a midium film, a short film. ③ According to scenery colour and size, Black and White Film, Technicolor Film, a narrow range film, a wide range film, a three dimensional film, a telerecording, Videotape Film. 4) The problem at North Korea Film Art's genre classification is to follow world literature Art. Film Art, Film Literature, the description method of film are made concept by the Labour Party of North Korea's literature policy and artificial control in genre change. It regard spectator as passive creature of the Party. 5) North Korea Film Art cannot get out of 'Juche Literature Art', 'Juche Realism Film'. It is regarded as 'Juche genre film' and substitute Juche's logic for Capital logic and Juche's humane studies for creating interests.

한국어

본고는 북한예술에서 영화예술이 차지하고 있는 장르론적 위치와 그 특성, 영화예술의 장르체계와 그 하위장르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북한영화예술은, 형상수단, 묘사방식, 묘사대상, 구성형식에서 본다면 문학예술의 7 종류들 가운데서 현대 과학기술에 기초하여 발생한 예술로서 시공간적 제한을 받지 않고 인간과 그의 생활을 화면형상을 통하여 보여주는 예술이다.북한영화예술은 영화문학에 기초하여 연극, 미술, 음악 등을 결합한 종합예술로서, 화면을 통하여 인간과 그 생활을 그대로 보여줌으로써 대중교양의 선전선동의 도구가 되는 예술이다.북한영화예술은 형상대상 및 형상수단, 수법에 따라서 예술영화, 기록영화, 과학영화, 아동영화로, 용적 및 규모에 따라서 장편영화, 중편영화, 단편영화로, 화면의 색깔과 규격에 따라서 흑백색영화, 천연색영화, 소폭영화, 광폭영화, 입체영화, 텔레비전영화, 녹화영화(비디오)로 나눈다. 아울러 각 하위영화들도 다양한 기준에 따라서 더욱더 세분화 하여 나누기도 한다. 북한영화예술과 그 하위 장르에 대한 규정에서 지적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문학예술을 세계문학예술의 중심, 세계문학예술의 원장르로 설정하고 당의 문예정책과 장르변화의 인위적 통제성에 의하여 영화예술, 영화문학, 영화적 묘사방식을 개념화 하였으며, 영화예술을 가장 강력한 대중교양 수단으로 사용하여 관객을 단지 수동적인 수용자로 한정한 것이다. 따라서 영화예술의 장르를 여러 가지 기준으로 체계화 하고 특성화 하여도 궁극적으로 북한영화예술은 ‘주체문학예술’, ‘주체사실주의영화’에서 전혀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자본의 논리를 주체의 논리로, 이윤의 창출을 주체의 인간학으로 대체한 주체장르영화라고 규정할 수 있을 것 같다.

목차

1. 문제의 제기
 2. 북한 영화예술의 장르론적 특성
 3. 북한영화예술의 장르체계와 그 특성
  3.1 북한영화예술의 장르체계
  3.2 북한영화예술의 장르별 특성
 4. 북한영화예술의 장르론적 비판
 5. 결론 및 앞으로의 문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민병욱 Min, Byung-wook. 부산대 국어교육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