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뇌성마비 아동을 위한 행동관찰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체계적 고찰

원문정보

A Systematic Review of Action Observation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배수영, 정남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effective intervention and treatment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ssessment, and functional enhancement of Action Observation Therapy (AO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Methods: Pubmed, CINAHL was used to search for published papers up to May 2020. The main search terms used ‘Cerebral palsy’, ‘Action observation’, and ‘Motion observation’, and included a total of 10 domestic and foreign papers. Results: The ag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from the preschool age to the early school age from 5 to 10 years old, and there was diversity in the AOT application method. There were many performance-based assessment tools used, and Assisting Hand Assessment (AHA), Melbourne Assessment of Unilateral Upper Limb Function (MUUL), and measure of manual 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BILHAND-Kids)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diversity of behavioral observation intervention method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ile suggesting the need for guidelines for consistency of the program tha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reparation of AOT clinical evidence and further research.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해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한 행동관찰중재의 특성, 평가도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Pubmed, CINAHL을 사용하여 2020년 5월까지 출판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Cerebral palsy’, ‘Action observation’, ‘Motion observation’을 사용하였고 총 10편의 국내외 논문을 선정했다. 결과 : 연구에서 실험군의 연령은 5세-10세까지 전 학령기부터 초기학령기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행동관찰중재 적용 방법이 다양하였다. 사용된 평가도구는 수행기반 평가도구가 많았으며 Assisting Hand Assessment(AHA), Melbourne Assessment of Unilateral Upper Limb Function(MUUL)과 a measure of manual 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ABILHAND-Kids)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행동관찰중재방식의 다양성을 확인하였으나 프로그램의 일관성을 위해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Action Observation Therapy(AOT) 임상증거 마련 및 추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검색 방법 및 분석대상
2. 분석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3. 분석 대상 연구의 근거 분석 및 제시방법
Ⅲ. 연구 결과
1. 분석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2. 연구 대상자에 대한 분석
3. 중재방법에 대한 분석
4. 중재에 사용된 평가도구 분석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배수영 Bae, Su-Yeong.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박사과정
  • 정남해 Jung, Nam-Hae. 동서대학교 보건의료계열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