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작업치료 원격건강관리(Telehealth) 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원문정보

Systematic Review of Telehealth Services in Occupational Therapy

정은화, 주유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telehealth services in occupational therapy and analyze the delivered contents of telehealth and its effectiveness. Methods: From January 2010 to May 2020, the articles on group programs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were searched using the PubMed, Embase, and NDSL databases.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of the 254 articles, a total of 12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6 (50.0%) of the one group pre-and post-group studies of evidence level Ⅲ were the most common. In addition, 3 (25.0%)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brain injuries, 3 (25.0%)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children, and 2 (16.7%)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elderly. The delivered contents of the telehealth services included encouraging occupational participation, cognitive training, motor and language function improvement, wheelchair skills training, and home modification. Telehealth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occupational participation, quality of life, and some cognitive functions such as attention and visuo-motor scanning. Otherwise, there were no positive impacts on bimanual motor function, wheelchair skills capacity, or mobility. Conclusion: Telehealth might be the next paradigm in the near future. Various types of telehealth in occupational therapy have been developed through a service delivery model and showed positive effects on occupational participation, ADL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telehealth in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fields.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영역에서의 원격건강관리 서비스의 유형과 효과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문헌을 고찰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부터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PubMed, Embase, NDSL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작업치료 영역의 원격건강관리 중재에 대한 논문을 검색하였으며, 1차 검색된 254편의 논문 중 선정기 준 및 배제기준에 따라 12편의 논문을 최종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2편의 선정된 연구 중 근거수준 Ⅲ에 해당하는 단일 그룹 사전-사후 연구가 6편(50.0%)으로 가장 많았고, 뇌손상 환자 대상이 3편(25.0%), 아동 대상이 3편(25.0%), 노인 대상이 2편(16.7%)이었 다. 총 12편의 연구에서 적용한 원격 작업치료 서비스의 유형은 연구에 따라 작업참여 증진, 인지기능 훈련, 운동, 언어기능향상, 휠체어 기술 훈련, 가정환경수정을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 중재 서비 스를 통해 일상생활 수행 및 참여도, 삶의 질, 주의력 및 시각-운동 기능의 향상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 되었다. 반면 양손 운동 능력, 휠체어 사용기술, 움직임 및 보행 등과 같은 기능은 원격중재로 인한 효과 는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 작업치료 원격건강관리 서비스는 현 시대적 상황 속에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미래의 작업치료 영 역이라고 할 수 있다. 해외의 경우 다양한 원격중재 서비스가 시도되고 있으며 일상생활 수행 및 참여 도, 삶의 질과 같은 영역에서 긍정적인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 국내 작업치료에 서도 다양한 원격중재 서비스의 개발과 시도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문헌 검색 및 선정 과정
2.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3. 비뚤림 위험 평가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분석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2. 비뚤림 위험 평가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 원격건강관리 서비스의 유형 및 중재 효과
Ⅳ. 고찰
V.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정은화 Jeong, Eun-Hwa. 극동대학교 의료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 주유미 Ju, Yumi. 극동대학교 의료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