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linical Nurses

김상욱, 서민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grasp the effects of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nurse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mong clinical nurses working in university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located in City J and City J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5.0 program. Mean scores were organizational commitment 3.38, nurse practice environment 2.62, and resilience index 3.4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ex for : age, marriage, clinical experience, job satisfact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resilience index and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esilience index. As a result of research, 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 converg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bitration program strategies are needed to improve the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resilience of nurses.

한국어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 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도 및 J도의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간호사의 조직몰입 정도는 5점 만점에 3.38점, 간호근무환경은 4점 만점에 2.62점,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3.45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 정도는 임상경력, 근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연령, 결혼 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조직 몰입은 간호근무환경(r =.64, p <.001), 회복탄력성(r =.75, p <.001)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간호사의 간호근 무환경과 조직몰입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부분 매개(Z=6.23, p <.001)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하여 간호근무환경과 회복탄력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융복합적인 조직몰입 중재프로그램 을 개발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대상자 및 자료수집
2.3 연구도구
2.4 자료분석방법
2.5 윤리적 고려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 관련 특성
3.2 대상자의 조직몰입, 간호근무환경 및 회복탄력성의 정도
3.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조직몰입, 간호근무환경, 회복탄력성 차이
3.4 대상자의 조직몰입, 간호근무환경 및 회복탄력성 간의 상관관계
3.5 간호근무환경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상욱 Sanguook, Kim. 경상대학교 간호대학원
  • 서민정 Minjeong, Seo.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건강과학연구원 노인건강연구센터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