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영

수출중량과 관제탑관제량, 내항화물입항, 수출화물수송 그리고 선박출항과의 동조화현상

원문정보

Synchronization Phenomenon between Export Weight & Control Volume, Inland Cargo, Export Cargo, Ship Departure

김신중, 최수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 weight and control volume, inland cargo, export cargo transport, ship departure. The analysis period were used for a total of 113 monthly data from January 2011 to May 2020. Data were retrieved from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of the Statistics Korea.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performed numerical analysis, index analysis and model analysis using the rate of change from the same month of the previous year. In the trend of the increase rate, the amount of control has plummeted from 150% to 60% due to the influence of Corona 19 in the beginning of 2020. At the same time, export weight and export cargo transport also decrea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xport weight showed relatively high synchronization with export cargo transport and control volume. On the other hand, export weight and inland cargo showed relatively low synchronization. Export weight is expected to continue in 2020 after the fluctuation rate began to decrease after 2019. If we can find the point of rebound in control volume or export cargo transport in the future, we can predict the point of increase in export weight. We expect to see an increase in export weight as soon as possible.

한국어

본 연구에서 목적은 수출중량과 관제량, 내항화물입항, 수출화물수송, 선박출항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서 지난 2011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총 113개 월간자료를 검색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 에서는 전년 동월대비 변동률을 이용하여 수치분석과 지표분석, 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상승률 동향에서 관제량은 2020년도 초부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150%에서 60%대로 급락하였고 동시에 수출중량과 수출화물수송도 동반 하락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분석결과 수출중량은 수출화물수송 및 관제량과 상대적으로 동조화현상이 높게 나타난 반면 수출중량과 내항화물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수출중량이 지난 2019년 이후 변동률이 감소하면서 2020년 이후 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관제량이나 수출화물수송의 반등시점을 찾을 수 있다면 수출중량의 상승시점을 예상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수출중량의 증가세가 나타나기를 기대해 본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2.1 관제탑 관제량
2.2 내항화물 입항현황(R/T)
2.3 수출화물수송현황(R/T)
2.4 선박출항현황(총톤수 GT)
2.5 수출중량(Ton)
3. 자료수집 및 실증분석
3.1 자료수집
3.2 수치분석
3.3 지표분석
3.4 모형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신중 Shin-Joong Kim. 대진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최수호 Soo-Ho Choi. 동양미래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