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clarify relationships between nursing college students’ gri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rough examining differences in those variabl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 Participants were 3rd-year students of nursing science at 2 colleges in Gyeongnam. Data collected from them or 180 questionnaire sheets were analyzing using SPSS 21 Program. The study found differences in gri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pectively, depending on gender, health interest, eating habit or smoking and on perceived health state, health interest, eating habit, alcohol or exercise.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gri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f grit, eating habit or exercise on the promotion behavi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arious education programs or strategies should be created to improve nursing college students’ regular eating habits, accurate exercise and grit that influence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행동이 그릿과 건강증진행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그릿과 건강증진행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남 2개 간호학과 3학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 180부 를 SPSS 21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그릿의 차이는 성별, 건강관심도, 식사습관, 흡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건강증진행위의 차이는 건강상태인식, 건강관심도, 식사습관, 음주, 운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릿과 건강증진행위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그릿, 식사습관, 운동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규칙적인 식사습관, 올바 른 운동 및 그릿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교육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2.4 측정도구
3. 연구결과
3.1 연구변수의 정도
3.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행동
3.3 일반적 특성 및 건강행동에 따른 그릿, 건강증진행위 차이
3.4 그릿과 건강증진행위 상관관계
3.5 건강증진행위의 영향 요인
4. 논의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