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통제력이 뇌졸중 환자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trol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troke Patients

황정하, 임재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nternal shame and self-control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troke patients, and to provide evidence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clinical trial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Methods : For this study, 150 stroke patients receiving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at institutions where occupational therapists work in Jeollanam-do and Chungnam regions were targeted through email and mail from March 1, 2019 to April 30, 2019.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sing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Change Scales(RCS), Self-Control Scales(SCS), and Internalized Shame Scale(ISS)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t-test and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ANOVA) were used to compa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self-control,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stroke patients. Results : As a result of comparing interpersonal compet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age and education leve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nternalized shame,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trol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and self-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correlation, but self-control was the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ch as openness, sensitivity, intimacy,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communication item. In addition, the items of inadequacy (β =-0.32) and adventure seeking (β =-0.23), which are sub-areas of internalized shame, affect the negative direction, and physical activity (β =0.22), which is the sub-area of self-control and the self-centered (β =0.24) item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positive direction. Conclusion :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hat can operate a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am that applies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for the form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stroke patients.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내적 수치심과 자기통제력이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고, 그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임상에 필요한 근거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전라남도 및 충청남도 지역 소재에 작업치료사가 근무하고 있는 기관에서 작업치료 서비스 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150명을 대상으로 2019년 3월 1일부터 2019년 4월 30일까지 일반적 특성, 대인관계(RCS), 자기통제력(SCS),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t-test)과 일 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였다.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통제력 그리고 대인관계의 관련성은 피어슨 상관 계수로 분석하였고, 뇌졸중 환자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를 비교한 결과, 연령과 교육수준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내면화된 수치 심과 대인관계, 자기통제력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유의한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었고, 자기통제력과 대인관계는 정적 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대인관계 하위요인인 개방성, 민감성, 친밀감, 의사소통 항목과 자기통제력은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내면화된 수치심의 하위 영역인 부적절함(β =-0.32)과 모험 추구(β =-0.23) 항목은 역방 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자기통제력의 하위 영역인 신체활동(β =-0.22)과 자기중심(β =0.24) 항목은 정방향으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대인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심리적인 요인이 적용된 재활치료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및 기간
2. 연구 절차
3. 연구 도구
4. 자료분석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 비교
2.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통제력과 대인관계간의 상관관계
3.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통제력과 대인관계의 하위 영역별 상관관계
4.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통제력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황정하 Hwang, Jung-Ha. 광양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교수
  • 임재호 Lim, Jae-Ho. 강원도재활병원 작업치료실 작업치료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