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황토노각플러스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및 항미생물 효능

원문정보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Hoangtonogak Plus Extracts

조준희, 이지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Hoangtonogak Plus extracts as a bioactive ingredients for cosmetic products. Methanol(MN) and hot-water(WN) extracts were analysed by DPPH/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RAP value for anti-oxidant activity, MTT assay for cell viability, inhibition of NO production and iNOS protein expression for anti-inflammatory effect, paper disc diffusion method f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Escherichia coli..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of MN and WN extracts were 2.92±0.01 mgGAE/g and 1.67±0.02 mgGAE/g, respectively. DPPH, ABTS and FRAP values of MN extracts were higher than WN at each concentration. No significant cytotoxicity was observed in RAW264.7 cells. Furthermore, NO production of MN and WN at 1 mg/mL concentration was measured as 11.69 μM, 20.4 μM, respectively. In addition, MN extracts showed anti-microbial effect only on S. epidermidis. Also MN extracts suppressed iNOS protein level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MN extracts demonstrated its potential as a natural source of antioxidant with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황토노각플러스 추출물의 생리활성 평가를 통해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황토노각 플러스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DPPH/ABTS 라디컬 소거능 활성 및 FRAP 분석, 세포 생존율은 MTT assay, 항염증 효과는 nitric oxide(NO) 생성억제 및 iNOS 단백질 발현 수준, 항균 효과는 총 3종 균주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한천 확산법을 측정하였다. 메탄올추출물(MN)과 열수추출물 (WN)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2.92±0.01 mgGAE/g, 1.67±0.02 mgGAE/g로 나타났다. MN 추출물의 DPPH, ABTS 및 FRAP 값은 모든 농도에서 WN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RAW264.7 세포에 대한 두 추출물의 세포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더욱이 1 mg/mL농도에서 MN과 WN 추출물의 NO 생성량은 11.69 μM과 20.4 μM로 측정되었으며, MN 추출 물의 iNOS 단백질 발현 수준은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또한 MN 추출물은 S. epidermidis 균주에서만 항균 효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황토노각플러스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 항균효능을 지닌 천연물질 후보로써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추출물 제조
2.2 항산화 활성 측정
2.3 항염증 효과 측정
2.4 항균활성 측정
2.5 통계분석
3. 연구 결과 및 고찰
3.1 항산화 활성
3.2 항염증 활성
3.3 항균활성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조준희 Jun-Hee Cho.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용예술학과 학생
  • 이지안 Ji-An Lee.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용예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