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논문

뉴 패러다임의 정치철학적 함의와 실천적 적용

원문정보

The Politico-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New Paradigm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최민자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57호 2020.12 pp.163-203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found politico-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holistic new paradigm represented by the quantum mechanical worldview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First, we will take a glance at the changes of scientific methodology, which is an epistemological framework to understand the world, and then examin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paradigm, its politico-philosophical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practical application, and further explore the way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Donghak. The politico-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new paradigm can be seen in two major aspects: the great transition to life politics and life culture, and the great historical transition of civilization to the era of consilience. Only by the politics of the new paradigm based on the holistic nature of life can biopolitical division be overcome and a great transition to true life politics and life culture be made possible. Without understanding the fact that life is not just an individualized material life, but a spirituality based on nonseparability and nonduality, true insight into the era of great consilience cannot arise. The limitation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new paradigm comes from the failure to see the mechanism of consilience and thus to gain insight into the oneness of life, the essence of the universe. The new paradigm is essentially nonseparable and nondual, so it is difficult to apply it in practice if our worldview, way of thinking and value system fail to live up to it. The triad structure of the Donghak ‘Si’ allows u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new paradigm by perceiving the mechanism of consilience, thereby revealing that all things are the manifestation of Oneness and unfolding practical thoughts on the oneness of life.

한국어

본 연구는 양자역학적 세계관으로 대표되는 통섭적인 뉴 패러다임의 심원한 정치철학적 함의와 그것의 실천적 적용에 대해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세계를 이해하는 인식론적 틀인 과학적 방법론의 변천에 대해 일별한 후 뉴 패러다임의 본질과 특성, 정치철학적 함의와 실천적 적용의 한계에 대해 고찰하고, 나아가 그 한계의 극복 방안을 동학의 관점에서 탐색해보고자 한다. 뉴 패러다임이 함축하고 있는 정치철학적 의미는 크게 두 가지 측면, 즉 생명정치와 생명문화로의 대전환이라는 측면과 통섭의 시대로의 문명사적 대전환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생명의 전일적 본질에 기초한 뉴 패러다임의 정치에 의해서만 생명정치적 분열은 극복될 수 있고 진정한 생명정치와 생명문화로의 대전환 또한 가능하게 된다. 생명이 단순히 개체화된 물질적 생명체가 아니라 비분리성·비이원성을 본질로 하는 영성(spirituality)이라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고서는 대통섭의 시대에 대한 진정한 통찰이 일어날 수 없다. 뉴 패러다임의 실천적 적용의 한계는 통섭의 메커니즘을 간파하지 못함으로 해서 우주의 본질인 생명의 전일성에 대한 통찰이 일어나지 못하는 데서 오는 것이다. 뉴 패러다임은 본질적으로 비분리적이고 비이원적이어서 우리의 세계관과 사고방식 및 가치체계가 이에 부응하지 못하면 실천적으로 적용되기 어렵다. 동학 ‘시(侍)’의 3화음적 구조는 통섭의 메커니즘을 간파함으로써 일체 만물이 전일성의 현시임을 밝히고 생명의 전일성에 대한 실천적 사유를 전개함으로써 뉴 패러다임의 실천적 적용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과학적 방법론과 뉴 패러다임의 등장
1) 과학적 방법론의 변천
2) 뉴 패러다임의 본질과 특성
3. 뉴 패러다임의 정치철학적 함의
1) 생명정치와 생명문화로의 대전환
2) 통섭의 시대로의 문명사적 대전환
4. 뉴 패러다임의 실천적 적용의 한계 및 극복 방안
1) 뉴 패러다임의 실천적 적용의 한계
2) 극복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민자 Min-Za Choi.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