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tim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Hongju Righteous Army Tomb. In the Joseon government of Neo-Confucian ideology,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subject to oppression. At the time of the initial Gobu-Uprising the leadership was subject to strict punishment and general participants were subject to filial piety, but after Moojang-Uprising it was converted into a hard-line response from the punitive force. Furthermore, as the Japanese military, which secured the command due to the dispatch of Japan, was recognized as a target of “punitive” the sacrific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were inevitably increased. As a result, Japanese troops dispatched to suppress Donghak Peasant were called “a punitive force”. At that time, the current status of the victims of Donghak Peasant Army has not been revealed so far. However, according to a study related to Cheondogyo,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200,000 or 300,000 or 400,000 peop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Hongju Peasant’s Association was examined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Battle of Hongju Castle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Righteous army. The first number of participants was up to 60,000 to at least 7,000 in Donghak Peasant Army, up to 5,000 to 200 in righteous army, The second victim was at least 200 Donghak Peasants’ Army (excluding Donghak Peasants Army who were sent to Hongju Castle to be executed), up to thousands to 30,000, at least 82 righteous army soldiers, and up to 1,000 people. At the third battle site, Donghak Peasant Army attacked Hongju Castle, focusing on the west gate, east gate, and north gate, while righteous army fought the Japanese army in Hongju Castle. And it was impossible to recover the body of the Donghak Peasants Army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body. But most of the righteous army ointment was recovered by Hongju County Governor Yoon Si-young, and was buried the People who have nothing to do with the dea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mains buried in the Hongju Temple were not righteous soldiers in 1906, but rather victims of Donghak Peasant Army who were killed in the 1894 Battle of Hongju Castle.
한국어
본고는 동학농민혁명 당시 희생자 현황과 홍주의사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성리학 이데올로기의 조선 정부에서는 동학농민혁명은 탄압의 대상이었다. 초기 고부기포 당시에는 주도세력은 엄격한 처벌, 일반 참여자는 효유의 대상이었지만, 무장기포 이후에는 토벌의 강경 대응으로 전환되었다. 더욱이 일본의 출병으로 지휘권을 확보한 일본군은 동학농민군을 ‘토벌’의 대상으로 인식됨에 따라 동학농민군의 희생은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전개되었다. 이에 따라 동학농민군을 진압하기 위해 파병된 일본군을 ‘토벌대’라 불렸다. 당시 동학농민군의 희생자에 대한 현황은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다. 다만 천도교단과 관련된 연구에 의하면 20만 또는 30, 4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동학농민혁명과 홍주의사총의 관계는 동학농민혁명과 병오의병 당시의 홍주성 전투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첫째 참가 인원수는 동학농민군은 최대 6만 명에서 최소 7천 명이었으며, 의병은 최대 5천 명에서 최소 2백 명, 둘째 희생당한 인원수는 동학농민군은 최소 2백 명이며(홍주성에 압송되어 효수당한 동학농민군 제외) 최대 수천 명 내지 3만 명, 의병은 최소 83명이며 최대 1천여 명, 셋째 전투현장은 동학농민군은 서문과 동문, 그리고 북문을 중심으로 홍주성을 공략하였으며, 의병은 홍주성 안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방어적인 전투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시신 수습 과정에서 동학농민군 시신을 수습한다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의병은 선유사로 파견된 윤시영 홍주군수에 의해 대부분 연고자가 찾아갔으며, 시친자(屍親者)가 없는 경우만 매장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홍주의사총에 묻혀있는 유해는 1906년 의병이기보다는 1894년 홍주성 전투에서 희생당한 동학농민군의 희생자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1. 머리말
2. 동학농민혁명과 희생자 현황
3. 홍주의사총과 동학농민군의 관계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